*지난 2월 한글 그림책을 출판한 일본인 야마기와 타카코(山極尊子) 작가가 한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의 눈으로 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이야기를 뉴스인(NEWSIN)에서 칼럼으로 연재합니다. 야마기와 타카코는 2008년 한국으로 유학 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석사학위와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교육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지한파 동화작가입니다. -편집자주

야마기와 타카코 작가 (사진=방찬순 사진작가)

[뉴스인] 야마기와 타카코 = “지금 제가 살고 있는 곳은 서민아파트예요. 임금은 적지만 빚을 안 지고 생활한다는 것에 만족하고 살고 있어요. 오히려 저희가 괜찮다고 생각해요. 정신적 레벨은 저희가 높다고 생각해요.”

지난 칼럼에서 필자는 북한 이탈주민에 대한 언론의 프레임이 사회적 약자, 북한 주민, 사회부적응, 정치세력 프레임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이는 한국인과 북한 이탈주민을 단절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필자가 만난 북한 이탈주민 중에는 이러한 단절을 느끼면서도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와 희망을 놓지 않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처음에는 내가 한국에서 하층민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상담사분이 저한테 ‘한국에 노숙자들도 많고, 지하방에 사는 사람도 많아요. 한국에서 이런 아파트에 사는 거면 중산층이라고 봐야 하는 게 아닐까요?’라고 하시더라고요. 그 순간 ‘아, 이렇게 보면 안 되겠다. 내가 내 자신을 비하하면 안 되겠다’ 생각했어요. 세상을 좀 긍정적으로 봐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저는 하층은 아니고 그래도 서민층이라고 생각해요.”

많은 북한 이탈주민이 자신들의 생활수준이 한국 사회 내에서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생활수준 자체에 대해 불만을 크게 갖지 않는다.

어느 사회든 그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한국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북한 이탈주민도 있지만 많은 북한 이탈주민은 현실을 빨리 파악하고 적응하며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이들에게 가장 중요하게 다가가는 희망은 미래이다. 북한 이탈주민은 한국사회가 노력에 의해 성취가 이루어지는 사회라는 점에서 현재의 생활수준 보다 가족 전체의 미래 생활수준이 높아질 것을 기대한다.

“딸이 한국사회에 잘 적응하고 학교에서 공부 잘하고 그게 제일 행복해요. 아이들이 빨리 적응하고, 친구들이랑 잘 지내니까요. 우리 딸은 선생님이 되고 싶다고 해요. 교대는 학비도 지원 받을 수 있고 돈도 적게 들고요.”

이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첫째, 기혼자로서 가족의 행복, 특히 자녀의 미래 등을 고려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둘째, 이주 이전의 생활보다 여건이 좋을 뿐 아니라 주위에서 보게 되는 성공 사례가 자신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내가 칼럼을 통해 가장 하고 싶었던 것이 바로 자녀교육과 관련한 북한 이탈여성의 이야기이다. 이들의 삶을 희망적으로 만드는 동기로서 자녀교육 문제, 자녀의 성공을 바라는 부모로서 한국사회와 자녀의 관계를 다음 칼럼부터 몇 차례 언급하려고 한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