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한약 검사 '구멍'
지난해 수입한약재 검사기관 6곳이 성적서 조작으로 물의를 일으킨 가운데 올해 정부 출연 연구소 7곳이 또다시 도마에 오르며 신뢰가 바닥났다.
이 같은 사실은 식약청이 국회 보건복지가족위 최영희 의원(민주당)에게 제출한 '2009 수입한약재 검사기관 복지부 합동 실태점검'에서 드러났다.
문제가 된 곳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의약품시험연구소, 경기의약연구센터, 전통의약산업센터, 한국식품연구소,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강북농수산물검사소, 전주생물소재연구소 등이다.
이들 검사기관은 시험을 시행하지 않고 성적서를 발급하거나 일부 검사를 빠뜨리는 등의 정황이 드러났다.
또 검사장비 협소, 검사성적서 사전 발급 등 전문성과 정확성에 심각한 의문을 사고 있다.
◇당국 "제도 기준 마련, 수입 검사 강화"
한약재 제조과정 중 발생하는 벤조피렌 저감화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식약청은 한약재의 안전한 제조기준을 구축하고 한약규격품 제조회사에 대한 지속적인 지도와 수입 한약재 검사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 같은 한약재의 안전한 제조기준 등 관리방안 수립, 추진을 위해 지난해부터 올해 초까지 ‘한약재 중 벤조피렌함유량 모니터링연구’에 대한 용역 연구 사업을 실시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13일 생약의 벤조피렌 기준 및 시험 방법에 대한 기준고시를 시행했다.
◇한약 품질관리기준 도입
이와 관련해 당국은 지난 3월 한약재 규격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유통 중인 한약재의 품질을 보증하고 규격화된 한약재 제조의 전문화를 도모키 위해 관련단체, 업체가 TF팀을 발족해 운영하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한약재는 산업 영세성과 품질관리기준이 협소해 유통 한약재의 안전성과 품질 보증체계가 미흡했다.
TF팀은 식약청, 복지부 등 관계 당국과 한국한약제조협회,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등 전문가로 구성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올해 안에 한약규격품 특성에 맞는 GMP기준(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식약청은 부정ㆍ불량 한약재의 유통 근절을 막기 위해 '원색 한약재감별도감'을 지난 2월 발간했다.
식약청 관계자는 "GMP 도입으로 한약재 산업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