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화는 되었지만, 목숨 끊는 청년 더 늘고,
- 경제발전 뒤에 고시원살이 취업 걱정하는 청년 위한 국가책임제 제안

[뉴스인] 박재헌 기자 = 허경영 국가혁명당 대선 후보가 10일 이한열 열사의 모친인 고(故) 배은심 여사의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 허 후보는 배 여사의 영정 사진 앞에서 예를 갖춘 뒤 “자식을 먼저 보낸 민족의 어머니에게 소홀했던 점 미안한 마음을 전하러 왔다”며, “심심한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고 말했다.
조문을 마친 허 후보는 “고인은 아들을 대신해 일생을 민주화를 위해 헌신하셨다"며 "이한열 열사에게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죄송한 마음을 갖고, 배은심 여사의 명복을 빈다"고 말했다. 아울러 허 후보는 뉴스인과의 짧은 인터뷰를 통해 청년 정책에 대한 소감을 전했다.
허 후보는 과거에 비해 지금 우리나라의 민주주의는 발전했다고 생각하지만 우리는 당시 젊은 청년들에게 씻을 수 없는 빚을 진 것이다. 민주주의를 위해 목숨을 바친 그분들이 있었기에 지금의 자유가 더욱 소중한 것인데 우리는 현재 스스로 목숨을 끊는 청년들을 접할 수 있어 안타깝기만 하다며, 민주화는 이루었지만 청년들에 대한 현실 대책은 양극화로 인해 간극이 좁혀지지 않는다고 말하고, 이제는 국가 책임임을 강조했다.
허 후보는 청년들의 취업을 국가가 계도하는 취업국가책임제, 청년 신불자를 위한 국민 배당금, 18세부터 학자금 융자 정책을 강조했다. 특히 최근 청년들의 숙소가 되고 있는 고시원 등에 대해 건설 평수를 제한해야 주거환경이 나아질 수 있음을 피력했다.
한편, 허 후보는 여야 대선 후보들의 정책인, 여가부 폐지, 군인장병 200만원 월급, 비정규직 공정수당 등이 자신의 공약을 베낀 것이라고 비판했다. 공약의 원조가 자신임을 강조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