괄약근 기능장애는 괄약근 주변의 근육이 제기능을 하지 못해 생기는 질환으로 근육의 외상이나 노화로 인한 근기능의 약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출산을 경험한 30대 이상의 여성에게서 자주 나타나는 대변실금과 요실금이 대표적이다.
특히 대변실금은 항문조임근의 기능장애로 인해 대변이나 방귀가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사회생활이 불가능한 심각한 질환이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항문괄약근의 치료법으로는 대변실금을 억제하기 위해 괄약근 주변에 인공대체물을 주입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주입된 물질이 시간이 지나면 흡수돼 효과가 사라지거나 인공주입물에 의한 부작용이 문제가 됐다는 회사측 설명이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에 특허출원한 괄약근 기능장애 치료용 세포조성물은 지방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한 미성숙지방세포와 지방유래줄기세포를 혼합한 것으로 기능이 상실된 괄약근 조직을 재생해 괄약근 기능장애를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