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헬스】오현지 기자 =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정부의 의료분야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에 대해 의료양극화로 국민의 고통이 커질 것이라고 강하게 경고했다.

보건의료노조는 11일 성명서를 통해 "선진화 방안 내용은 노조가 의료민영화 독소조항으로 규정한 것들"이라며 "보건복지가족부와 정부의 의료민영화 정책 추진 의사를 드러낸 것"이라고 밝혔다.

복지부는 지난 8일 청와대에서 열린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 민간합동회의'에서 △의료서비스에 대한 규제 선진화(경제자유구역의 의료기관 유치 지원, 의료기관경영지원사업(MSO) 활성화 △비영리법인 의료채권 발행 허용 △의료법인 합병근거 마련, 투자개방형 의료법인 도입 여부 검토) 등을 보고했다.

보건의료노조는 "복지부는 선진화 방안이 고용 증가와 해외환자 유치 활성화 등으로 경제위기 극복에 도움될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설득력이 없다"고 주장했다.

즉 "외국의료기관을 통해 검증되지 않은 의약품 및 의료기기가 유입되고 국내의료기관들도 외국의료기관과 동등한 혜택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또한 "의료채권법 또한 비영리법인인 의료기관을 영리중심의 주식회사형 병원으로 만드는 전 단계로, 채권자들은 높은 이윤을 위해 수익 위주의 병원경영을 강요해 폭등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

특히 "의료기관 경영지원회사(MSO)활성화와 병원 간 인수합병까지 허용된다면 병원의 대형화, 프랜차이즈화로 의료전달체계가 붕괴되고 의료체계의 근간은 흔들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여기에 "중소병원 전문화는 특정진료과만 운영하고 국민들에게 꼭 필요한 필수 진료과는 없애는 등 국민들의 의료접근권은 멀어지고 병원노동자들의 고용을 불안하게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보건의료노조 관계자는 "경제위기로 서민들이 고통 받는 상황에서 정부가 할 일은 의료민영화가 아니다"며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와 보호자 없는 병원으로 병원비와 가족간병 걱정 없는 사회를 만들자"고 말했다.

그는 또 "의료서비스 선진화 방안은 의료민영화 정책일 뿐"이라며 "정부는 의료민영화 정책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