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인] 김기현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는 스웨덴 교육연구부와 함께 15일 제3차 한-스웨덴 과학기술공동위원회(이하 공동위)를 화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본 회의는 지난 09년 체결된 한-스웨덴 과학기술협력협정을 근거로 추진되는 정부 간 협의체로서 양국의 과학기술 정책교류, 공동연구 등의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과기정통부 김성규 국제협력관, 스웨덴 교육연구부 다비드 에드발손 국장이 수석대표로 회의를 주재했다.
스웨덴은 지난 15년부터 ‘Fossil-free Swden 이니셔티브’를 통해 기후변화에 가장 앞서 대응해온 탄소중립 선도국이며 카롤린스카 연구소·웁살라 대학 등 우수한 생명공학 연구기관을 보유한 바이오 선진국이다. 이번 공동위는 스웨덴의 우수한 기후변화 연구역량을 기반으로 한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코로나19를 비롯한 차기 감염병에 지속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협업을 구체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본 회의는 과학기술 분야에서 주요 정책을 공유하는 한편 기존 협력사업 평가, 새로운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먼저 한국은 올해 발표된 ’22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에 대해 소개했고 스웨덴은 오는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을 공유하여 양국 간의 공통 관심사를 확인했다. 양측은 2022년 감염병 분야 공동연구를 신규로 추진할 것을 긍정적으로 논의했으며 이외에도 에너지 저장, 사이버 보안 등의 유망 협력분야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루어졌다.
나아가 한국 녹색기술센터는 스웨덴 스톡홀름 환경정책연구소와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탄소중립 실현방안 도출 연구를 공동으로 추진키로 합의했다. 연구의 목표는 기업 환경에서 축적되는 빅데이터에 지능정보기술을 적용해 원자재 및 제품 수요예측을 통한 공급망 관리 최적화, 에너지 효율 개선 등의 저탄소 전환을 가속화하는 것이다.
과기정통부 김성규 국제협력관은 "스웨덴은 기후변화 등의 국제사회 의제를 선도하는 북유럽의 대표 혁신국가"라며 "앞으로도 스웨덴을 비롯한 북유럽 지역과의 과학기술협력을 보다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