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장관 "정부차원 중앙 SI대책본부 구성 24시간 풀가동"

【서울=뉴시스헬스】조정훈 기자 =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본부장인 '중앙 SI대책본부'로 격상됨에 따라 그동안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문제 지역 여행자에 대한 추적, 이력조사가 탄력을 받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전재희 장관은 30일 기자회견에서 "정부차원에서 중앙 SI대책본부를 구성할 것"이라면서 "국가 재난단계는 현 상태인 '주의'를 유지하면서 향후 확대 가능성을 유심히 살피겠다"고 밝혔다.

이날 현재까지 신고 된 총 23건에 대한 SI검사를 실시한 결과 추정환자 1건(지난 28일), 음성 18건, 정밀검사 4건 등 순으로 나타났다.

관계 당국은 이처럼 국내 SI 의심환자가 계속 늘어남에 따라 이들이 접촉했던 생활 반경 2m이내 사람들에 대한 추적 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하지만 SI가 시작된 멕시코, 미국 등 여행자 추적에 대한 실적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어제(29일) 오전 브리핑에서 추정환자 A씨(51ㆍ여)와 동승한 338명 가운데 1차로 125명에 대한 조사를 완료하고 72명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외국인 환승 등의 이유로 나머지 141명에 대해선 이력 추적이 불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계속적인 추적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나 당국 발표대로 이력 추적이 모호한 상황에서 사실상 승객 등의 자진 신고에 의지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의심 승객이 있다 해도 주의를 의식하거나 하는 등의 심리적 이상 현상이 발생해 자진 신고건수는 많지 않을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무엇보다 국내 승객뿐만 아니라 문제의 나라에서 오는 외국인들에 대한 추적 관리가 동시에 진행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지난해 4월 전북 정읍 오리농장에서 조류독감이 발생했을 당시 해당농장의 늑장신고로 전국으로 확산된 전례가 있어 이 같은 지적은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정치권에서 조차 "대국민 홍보활동과 함께 위험지역 여행자에 대한 완벽하고 정밀한 추적조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1일부터 25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남부와 멕시코 등을 여행한 사람등의 자진 신고를 당부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발열, 기침, 콧물, 인후통 등 2가지 이상 증상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 거주지 보건소에 방문해 건강 상담을 받도록 요청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