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인] 조진성 기자 = 한국마사회 김우남 회장이 직무정지를 통보 받았다.
30일 한국마사회 노조에 따르면 지난 16일 김우남 회장에 대한 해임건의와 수사 의뢰가 확정된 데 이어 이날 대통령 명의의 직무정지 조치가 이뤄졌다.
이로써 김우남 회장의 권한은 중지되고 공운위 의결과 임명권자 재가를 통해 해임절차를 밟게 된다.
노조는 "당초 기소의견으로 송치된 강요미수·업무방해와 함께 2차 가해로 인한 근로기준법위반, 공공감사법 위반 혐의가 더해져 법적 처벌수위는 강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거듭된 자기변명과 책임회피 속에서도 세상의 이치는 사필귀정(事必歸正)의 물길을 흘렀다"며 "정부의 이번 조치는 원칙과 상식에 기반한 주장이 결국 통한다는 것을 입증한 결과"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취임 후 5개월, 파문 확산 후 백여 일이 지났다. 최초 성명을 통해 비위와 폭언 사실을 폭로한 4월11일, 언론보도가 시작된 4월13일, BH 감찰결과가 발표된 5월7일에도 김 회장이 자진사퇴함으로써 최소한의 도리는 다하지 않겠냐는 일말의 기대가 있었다"며 "하지만 회장 측은 최초 성명에는 '노조의 일방주장, 명예훼손 검토'로, 언론보도 직전에는 '피해자에게 이미 사과'로, 녹취파일 확산 후에는 ‘감찰결과에 맞는 책임을 지겠다’는 식으로 말을 바꿔왔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감찰 결과에 상응하는 책임을 지겠다는 약속은 끝내 지켜지지 않았고 지난 22일 경영위기 현안 설명회에서는 ‘비례의 원칙’, ‘감귤도둑에게 소도둑 취급’ 운운하며 정부 조치에 대한 불만과 불복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며 "국민 신뢰를 먹고 산다는 정치인이, 그것도 채용 비리를 저지르기 위해 하급자에게 욕설을 퍼부어 국민적 공분을 산 장본인이 할 수 있는 언행인지 의심스럽다. 마사회장 김우남의 해임·처벌을 넘어, 정치인 김우남의 영구퇴출을 바라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그 간 회장 측의 무책임한 자기변명과 빈약한 현실 인식은 부적절한 경영권 행사로 이어졌다. 인적 쇄신이라는 명목 하에 피해자 보복 인사와 감사인력 전보를 통한 감사방해가 이뤄졌으며 본질을 흐리기 위해 '녹취 기획설', '기득권 결탁설' 등 근거 없는 허위사실을 생산하고 외부로 퍼 나르며 피해자들과 조직 구성원들에게 회복할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며 "정치적 생명을 잃을 궁지에 몰린 자의 마지막 발악이라 이해하려 해도, 회장 측이 쌓은 악행의 흔적이 너무도 뚜렷하고, 그 죄질이 더럽다. 회장 측은 직무정지 이후 남은 얼마간을 마지막 기회로 삼아 자성해야 한다. 진정성 있는 반성과 사과만이 반인권적 행태의 재발을 막고 건전한 조직문화를 다시 세울 전제가 될 것"이라고 피력했다.
노조는 "불량 리더는 떠났지만 마음이 편치 않은 것은 우리가 처한 경영위기의 심각성 때문이다. 임직원 모두가 바라던 7월 이후 경마 정상화는 코로나 재확산으로 늦춰졌으며, 자금 차입이 불가피해졌다. 기관경영평가 e등급으로 조직 사기는 땅에 떨어졌다"며 "그나마 탈출구로 여겨졌던 온라인발매 입법화 역시 여전히 답보 상태다. 절망에 가까운 현실과 리더십 부재 상황 속에, 우리 조합원의 기대와 열망은 임원들을 향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오랜 세월 마사회와 정부에 몸담은 조직의 어른으로서 최대 현안인 경영위기 극복과 온라인발매 입법화에 모든 역량과 의지를 결집해 달라"며 "그것이 회장 부재 상황에서 임원들에게 바라는 최우선의 요구이자, 사명이다. 회장 부재를 이유 삼아 의사결정을 미루는 구태를 반복한다면, 임원들도 투쟁대상의 예외가 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김우남 회장 해임건의와 직무정지 확정에 즈음해 노동조합은 그 간 회장 퇴진 운동의 소회를 밝히고자 한다. 사업부진과 코로나 위기에 빠진 일터, 정치거물의 취임, 비위와 폭언을 인지한 조합도 경영위기의 심각성 앞에 퇴진운동 전개를 망설였던 것도 사실"이라며 "하지만 폭언과 갑질의 폐해가 확산되어 가는 상황을 외면할 수 없었으며 파문 이후 회장 측의 막가파식 대응을 보면서 회장 퇴진이라는 우리 주장의 정당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조합은 김우남 퇴진운동의 의의를 계승하고, 조합 활동의 방향타로 삼아 공동체 내의 기본적 인권 침해에 대해 단호히 투쟁할 뜻을 밝힌다"며 "아울러 변치 않는 지지로 함께 해 준 상급·연대 단체들과 조합원 동지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