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신 접종 정체·확진자 급증에 정부 대응 긍정 평가 다시 하락
![이미지=[한국갤럽]](https://cdn.newsin.co.kr/news/photo/202107/90122_83194_2454.png)
[뉴스인] 이현우 기자 =2021년 7월 셋째 주(13~15일)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해서는 47%가 '잘하고 있다', 44%가 '잘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코로나19 정부 대응 긍정률이 한 달 전 64%에서 47%로 떨어졌고, 부정률은 27%에서 44%로 올랐다. 최근 한 달간 국내 백신 접종 속도 정체, 확진자 급증, 거리두기 정책 혼선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정부 대응 긍정률은 작년 5월 85%가 최고치(→ 데일리 제402호), 백신 수급이 원활하지 않았던 올해 4월 43%가 최저치다(→ 데일리 제444호). 이후 접종자가 늘면서 6월 64%까지 재상승했다(→ 데일리 제452호). 한 달 전과 비교할 때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에서 정부 대응 긍정률이 하락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는 6월 91% → 7월 79%,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40%→20%, 무당층에서도 55%→40%로 바뀌었다.
![사진=[뉴시스]](https://cdn.newsin.co.kr/news/photo/202107/90122_83195_275.jpg)
지난달 정부 대응 평가에서는 연령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달랐다. 특히, 20대에서 부정률이 58%로 다른 연령대보다 두드러진다. 현재 백신 접종은 고연령대부터 순차적으로 이뤄져 20대는 가장 후순위다.
코로나19 정부 대응 긍정 평가자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466명, 자유응답) '백신 확보/수급'(18%), '방역/확산 억제'(15%), '거리두기 정책/단계 조정'(13%), '다른 나라보다 잘함/세계적 모범'(9%), '감염 경로/확진자 동선 추적', '열심히 한다/최선을 다한다'(이상 7%), '적절한 조치/대응'(6%), '소통/정보 공유/투명성'(5%)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 대응 부정 평가자는 그 이유로(444명, 자유응답) '백신 확보/공급 문제'(37%), '규제 약함/느슨함/미흡'(12%), '방역·확산 억제 못함'(10%), '거리두기 단계 부적절/모호함', '초기 대응 잘못/초기 입국 억제 미흡'(이상 9%), '일관성 없음'(5%) 등을 언급했다. 부정 평가 이유에서는 5개월째 백신 수급 문제가 가장 많이 지적되고 있으며, 이번 조사에서는 거리두기 정책 혼선 관련 응답이 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