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비절감을 이유로 계획서와 다른 포크레인 사용, 이격거리 지키지 않은 성토체의 토압이 건축물 붕괴로 이어져
학동4구역 붕괴는 계획서와 다른 해체에 원청의 관리 감독 부실

[뉴스인] 김기현 기자 = 심상정 의원은 '학동4구역 건축물해체계획서'를 입수 분석한 결과 이번 건축물 붕괴는 원청의 관리·감독 그리고 감리 부실이 불러온 참사라고 밝혔다.
심상정 의원이 입수한 계획서에 따르면 작업이 진행된 실제 사진에는 해체작업용 굴삭기가 올라가는 성토체가 건축벽에 바로 붙어있는 데 반해서 해체계획서 132페이지도면에는 성토체와 건축물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 사진과 같이 성토체가 건축벽에 바로 붙어 작업하는 경우, 건물 벽체 측면에 가해진 성토체의 토압으로 인해 붕괴사고 발생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해왔다. 이격거리를 지키지 않은 이유는 경비를 절약하기 위한 것인데, 붐 길이가 큰 포크레인 대신 짧은 소형장비를 사용하여 벽체에 밀착시켜 작업할 경우 그만큼 관련 경비가 절감된다는 것이다.
계획서를 분석해보면 첫째, 학동4구역 철거작업이 허가 시 제출한 해체계획서에 따라 작업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둘째, 원청인 현대산업개발의 관리·감독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셋째, 가장 기본적인 사항에 대해 감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반증해 주고 있다.
심상정 의원은 학동4구역 붕괴 사건은 “계획서와 달리 진행된 철거과정에 대한 원청의 관리부실, 감리부실 등 총체적인 부실”이라며, “이 계획서가 원청과 감리사에 제공되고 보고되는 만큼 학동4구역 재개발정비사업의 시공자인 현대산업개발과 정몽규 회장의 책임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하였다.
김기현 기자
aabbu@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