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 114과→98과 축소 1425명→1401명 감축

【서울=뉴시스헬스】조정훈 기자 = 6개 지방청을 포괄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대대적인 직제개편(안)이 확정됐다.

최근 계속되는 식의약품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유해물질 관리를 강화하는데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해석된다.

식약청은 21일 정부는 이날 기존 114과에서 98과로 축소되고, 1425명에서 1401명을 감축한 직제개편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석면탈크 등 위해물질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위해예방정책국'과 '위해사범중앙조사단'이 각각 신설된다.

또 식의약품 안전관리, 유해물질 안전기준 강화 등에 77명의 인력이 보강되고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식·의약품 지도ㆍ단속 기능은 지방자치단체로 이관된다.

직제개편안의 주요 내용을 보면 본청(17과 27명 감축)은 1관 5국(1단·4부) 65과 658명에서 1관 5국(1관·4부) 48과 631명으로 조정됐다.

위해예방정책관과 위해사범중앙수사단(T/F)이 정규직제화됐으며, 영양기능식품국을 영양정책관으로, 4개 평가부를 4개 심사부로 개편했다.

또 국립독성과학원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으로 개편, 11과 94이 증원, 기존 3부 18과(137명)에서 3부 29과(231명)로 조정됐다.

이밖에 6개 지방청은 91명이 감축돼 31과 7검사소(630명)에서 31과 7검사소(539명)로 최종 확정됐다.

지방청 감축인력의 경우 식ㆍ의약품 분야 특별지방행정기관 정비계획에 따라 지도ㆍ단속 등 단순집행 업무와 수행인력 101명이 시ㆍ도 지자체로 이관됐다.

식약청 관계자는 "식의약품 안전관리 핵심역량을 강화하고 식품안전종합대책 등 주요 국정현안을 적극 뒷받침하는 조직체제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