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대 주식 투자자 비율, 5개월 전 12%에서 27%로 증가
![이미지=[한국갤럽]](https://cdn.newsin.co.kr/news/photo/202101/84913_76465_5124.png)
[뉴스인] 김태엽 기자=한국갤럽이 2021년 1월 12~14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에게 현재 주식 투자 여부를 물은 결과(펀드 제외), 29%가 '하고 있다'고 답했다. 주식 투자자는 30~50대, 사무/관리직과 자영업 종사자,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많은 편이다(상/중상층 42%; 하층 10%). 대부분 응답자 특성에서 주식 투자자 비율이 증가했고, 특히 20대에서 가장 많이 늘었다.
국내 증권시장은 1956년 최초 개설, 1988년 전산 매매 시작, 1992년 외국인 국내 직접 투자 허용, 1996년 코스닥 설립 등 역사가 길다. 과거 한국갤럽 조사 기록에 남은 주식 투자자 비율은 1990년 18%, 2000~2006년 10% 내외, 2014년 15%였고, 2020년 8월 처음으로 20%를 넘었으며 이후 불과 5개월 만에 30%에 육박하기에 이르렀다. KOSPI는 2021년 1월 7일 종가 기준으로 사상 처음 3,000을 돌파했다.
◇ 주식 투자자의 지난해 손익: '이익 봤다' 69%, '손해 봤다' 14%, '손익 없었다' 15%
- 5개월 전보다 '이익 봤다' 응답 더 늘어
현재 주식 투자자 292명에게 작년 한 해 동안 손익 여부를 물은 결과, 69%가 '이익을 봤다'고 답했다. 14%는 '손해를 봤다', 15%는 '이익도 손해도 안 봤다', 그리고 2%는 의견을 유보했다. 1990년부터 2014년까지 여섯 차례 조사에서는 매번 '손해 봤다'는 사람이 더 많았는데, 작년 8월 처음으로 '이익 봤다'는 사람이 50%를 차지했고 이번에는 더 늘었다. 주식 투자자 열 명 중 일곱 명이 이익 기록 중인 것은 코로나19 팬데믹과 풍부한 유동성이 만들어낸 이례적 현상으로 보인다.
◇ 향후 1년간 국내 주가지수: '현재보다 오를 것' 41%, '내릴 것' 25%, '변화 없을 것' 12%
- 주식 투자자 중에서는 53%가 상승 전망
![5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가 전 거래일보다 9.01포인트(0.31%) 오른 2953.46으로 보이고 있다. 2021.01.05 / 사진=[뉴시스]](https://cdn.newsin.co.kr/news/photo/202101/84913_76467_5427.jpg)
향후 1년간 우리나라 주식 가치, 즉 주가지수 등락 전망에 관해 물었다. 그 결과 '현재보다 오를 것' 41%, '내릴 것' 25%, '변화 없을 것' 12%로 나타났고 22%는 의견을 유보했다. 현재 주식 투자자(292명) 중에서는 53%가, 비투자자(708명) 중에서는 36%가 상승할 것으로 봤다.
선행 질문에서 정치적 성향별 주식 투자자 비율은 보수층 29%, 중도층 36%, 진보층 33%로 큰 차이 없었다. 그러나 향후 1년간 국내 주가지수 상승('오를 것')-하락('내릴 것') 격차(Net Score, 순(純)지수)는 보수층(8)과 중도층(20)·진보층(23) 간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대통령 직무 긍정 평가자(33)와 부정 평가자(8) 간 차이도 컸다. 한국갤럽이 매월 말 조사하는 경제 전망에서도 마찬가지로 정치적 성향 간 차이가 큰 편이어서, 경제 전망과 정치 인식의 불가분성을 보여준다.
◇ 가장 유리한 재테크 방법: '부동산' 41%, '주식' 25%, '은행 적금' 12%
- 2000년 이후 '주식' 선호 최고치, KOSPI 3,000 시대 기대감 반영
![이미지=[한국갤럽]](https://cdn.newsin.co.kr/news/photo/202101/84913_76466_5219.png)
한국갤럽이 2021년 1월 12~14일 전국 성인 1,000명에게 가장 유리한 재테크 방법을 물은 결과(6개 보기 순서 로테이션 제시), '아파트/주택'(27%)과 '땅/토지'(14%) 등 41%가 '부동산'을 꼽았다. 그다음은 '주식'(25%), '은행 적금'(12%), '펀드', '가상화폐'(이상 2%) 순이며 16%는 의견을 유보했다.
작년 8월과 비교하면 재테크 방법으로 '부동산' 선호가 5개월 만에 55%에서 41%로 줄긴 했지만, 여전히 최고의 자산 증식 수단으로 꼽혔다. 같은 기간 '주식' 선호는 11%에서 25%로 늘어, 2000년 이후 아홉 차례 조사 중 최고치를 기록해 KOSPI 3,000 시대 기대감을 반영했다. '주식'은 상대적으로 저연령일수록 관심 투자처로 꼽혔다(20대 42%; 60대+ 10%). 모바일·핀테크 플랫폼 확장으로 국내외 주식에 접근하기 쉬워졌고, 부동산보다 소액 투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젊은이들에게 매력적이라 하겠다.
'은행 적금'은 2000년 74%에 달했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2018년 23%, 2019년 25%, 2020년 16%, 2021년 12%다. 국내 주요 은행의 1년제 정기예금 금리는 IMF 직후 연 18%를 웃돌았지만 1999년 연 8%, 2001년 연 5%로 급락했다. 2018년 연 2%대, 2020년 들어서는 0%대로 역대 최저 수준이다. 초저금리 시대에도 종잣돈을 모으거나 수익보다 손실을 피해려는 이들의 수요가 적지 않다고 볼 수 있다.
2018년 조사에 처음 포함된 '가상화폐'는 당시 '주식'과 같은 5%를 기록했지만 이후로는 1~2%에 그친다. 가상화폐는 2018년 초 열띤 관심을 모았으나, 이후 거래소 해킹·횡령 등 사건이 연발했고 정부 규제가 뒤따르며 가격이 급락했다. 그해 1월 조사에서는 성인 중 7%가 가상화폐 거래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고, 14%가 향후 거래 의향이 있다고 답했으며 특히 20·30대에서는 그 비율이 약 20%에 달했다.
자세한 조사 결과는 중앙선거여론 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