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헬스】조정훈 기자 = 지난해 환자중심의 의약품 안전관리를 강화하겠다고 관계 당국이 시행한 '의약품 회수ㆍ폐기제도'가 사실상 무용지물이 아니냐는 빈축이 나오고 있다.

석면 의약품 파문이후 관련 제품 회수 명령이 내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세부 지침 등이 협소해 사후처리에 있어 각계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정치권 압박도 수위를 넘어서고 있다. 여ㆍ야 진영에서는 문제 약품의 차질 없는 회수는 물론 소비자 환불 등에 만전을 기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또 병의원, 한의원, 약국, 의료기기업체, 건강기능식품, 다국적 제약회사에 대한 추가 점검 목소리가 강력히 대두되고 있어 향후 석면 파문에 대한 향방을 가늠할 수 없는 형국이다.

14일 뉴시스헬스는 '총성 없는 석면전쟁'에 대해 총 3회에 걸쳐 집중 점검한다.

◇약국 가(家) "수거, 도대체 어떻게 하라는 건지?"

이날 식품의약품안전청, 제약협회, 일선 약국 등에 따르면 식약청은 석면 오염 약품에 대한 소비자 환불 방침을 확정했다. 또 회수 방침이 내려진 관련 의약품에 대한 수거작업에 본격 나설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서울 마포구 A약국의 석면 의약품 회수ㆍ폐기 현황을 취재한 결과 관할 보건소에서 하달된 약품 현황 파악 지침만 있을 뿐 관계 당국 등의 구체적 지침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같은 현상은 비단 A약국만이 아니다 수도권 지역 다수의 약국에서 이 같은 상황이 포착되고 있다. 경기도 수원시 B약국 관계자는 "회수 의무를 갖고 있는 각 제약사의 수거작업이 모두 제각각이어서 혼란스럽다"고 말했다.

당국과 각 업체 간 수거 업무 추진에 있어 혼선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사전 사후 처리 미흡함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대목이다.

A약국 관계자는 "소비자, 약국 등 환불방침 마련에 앞서 관련 제품 회수 지침이 선행돼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어떻게 하라는 건지 참 황당하다"고 토로했다.

그는 "일부 제약사는 자체 회수작업에 나서고 있고, 일부는 문제가 안 된다는 입장이 강해 회수 문제조차 의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제약사든, 관계 당국이든 구체적 지침만 기다리고 있을 수 없어 일반 및 전문 의약품 모두 다 빼놓고 판매, 조제하고 있다 약사 시작 이래 이런 적은 없었다"며 당국과 제약사를 겨냥 정면으로 비판했다.

이밖에 그는 "전해들은 바로는 이미 문제된 베이비파우더 회수조차 지지부진한 것으로 지인을 통해 전해 들었다"며 "약품에 대한 회수작업이 잘 이어질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총성없는 석면전쟁②-"한심한 회수율 시민 분노"

총성없는 석면전쟁③-"건강기능식품 조사 초읽기(?)"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