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야별 긍정률: 복지 61%, 외교 43%, 교육·고용노동·대북 35% 내외, 경제·공직자 인사 30% 미만
- 올해 5월 긍정률 상승폭 컸던 코로나19 유관 정책(복지·외교·교육·경제) 포함 전 분야 하락
![이미지=[한국갤럽]](https://cdn.newsin.co.kr/news/photo/202011/82817_73671_2249.png)
[뉴스인] 김태엽 기자=한국갤럽이 2020년 11월 둘째 주(10~12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에게 문재인 정부 출범 3년 6개월 현시점 경제, 고용노동, 복지, 교육, 대북, 외교 정책과 공직자 인사 각각에 대해 잘하고 있는지, 잘못하고 있는지 물었다. 그 결과를 분야별 긍정률 기준으로 보면 복지 정책이 61%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외교 43%, 교육·고용노동·대북 35% 내외, 그리고 경제·공직자 인사가 30%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대상 7개 분야 중 복지에서는 긍정 평가가 크게 앞섰고, 외교·교육은 긍·부정률이 엇비슷하며 나머지에서는 부정 평가가 우세했다.
6개월 전인 올해 5월 조사에서는 복지·외교·교육·경제 분야, 즉 상반기 코로나19 확산 국면에서 상대적으로 관심과 자원이 집중된 분야들의 정책 긍정률이 작년 11월 대비 10%포인트 이상 상승했었다. 이번 11월 조사에서는 평가 대상 7개 전 분야에서 정책 긍정률이 최소 3%포인트에서 최대 13%포인트까지 하락해(복지 2019년 11월 57% → 2020년 5월 69% → 11월 61%, 외교 45%→56%→43%, 경제 27%→41%→29%, 교육 32%→41%→36% 등), 대부분 작년 11월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이미지=[한국갤럽]](https://cdn.newsin.co.kr/news/photo/202011/82817_73672_2326.png)
복지 정책은 2017년 8월부터 지금까지 열 한 차례 조사에서 모두 긍정률 50%를 웃돈다. 현 정부가 가장 잘하고 있는 분야라 할 수 있으며, 성향 보수층 등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에서 긍정 평가가 앞선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분야별 정책 긍정률은 복지 84%, 외교 69%, 대북 60%, 고용노동 56%, 경제·교육 53%, 공직자 인사 47% 순이다. 그러나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복지 분야에서 긍정률 31%, 교육·외교 12%, 고용노동 10%, 그 외 분야에서는 한 자릿수에 그쳤다. 현재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층의 정책 분야별 긍정률은 복지 48%, 교육·외교·고용노동 20%대, 그 외 10%대로 여당보다 보수 야당 지지층에 가까운 경향을 보였다.
이번 주 대통령 직무 긍정 평가 이유 1순위는 '코로나19 대응', 부정 평가 1순위는 '부동산 문제'다.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긍정 평가는 2월 41%에서 5월 85%까지 상승했고, 8월 재확산 이후로도 70% 내외로 높은 편이다(→ 데일리 제422호). 반면, 지난주 부동산 정책 평가에서는 긍정률이 현 정부 들어 최저치(15%), 부정률이 최고치(68%)에 달했다.
◆ '차기 대권 선호도' 이낙연·이재명 각각 19%, 윤석열 11%, 안철수 3%
- 여권 인물 선두 경쟁 구도지만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는 이낙연 우세, 야권 인물난 지속
- 후보명 불러주지 않고 자유응답받은 결과로, 현직 정치인 아닌 사람도 포함될 수 있어
![이미지=[한국갤럽]](https://cdn.newsin.co.kr/news/photo/202011/82817_73673_2652.png)
한국갤럽이 2020년 11월 둘째 주(10~12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에게 앞으로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정치 지도자, 즉 다음번 대통령감으로 누가 좋다고 생각하는지 물은 결과(자유응답)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재명 경기도지사(이상 19%), 윤석열 검찰총장(11%),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3%), 홍준표 무소속 의원(1%) 순으로 나타났다. 4%는 그 외 인물(1.0% 미만 20여 명 포함), 42%는 특정인을 답하지 않았다.
한 달 전과 비교하면 이낙연 선호도가 2%포인트, 윤석열은 8%포인트 상승했고, 이재명·안철수·홍준표는 각각 1%포인트 하락했다. 올해 7월까지는 이낙연이 선호도 20%대 중반으로 단연 선두였으나, 8월 이재명이 급상승해 여권 인물 선두 경쟁 구도가 형성됐다. 통상 대선 후보는 당내 경선을 통해 선출하는데,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는 이낙연(39%)이 이재명(27%)을 앞선다.
응답자 특성별로 보면 이낙연 선호도는 남녀(18%·20%) 비슷하고, 광주·전라(37%), 더불어민주당 지지층(39%) 등에서 높다. 이재명 선호도는 여성(15%)보다 남성(23%), 인천·경기(25%)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성향 보수·중도·진보층 내에서의 양자 선호도는 거의 비슷한 양상이다.
올해 차기 정치 지도자 조사에서 한 번이라도 선호도 1.0% 이상 기록한 인물은 모두 14명이다. 야권 정치인 중에서는 황교안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나 총선 이후 급락했고(1~4월 평균 9%, 5~6월 1%), 안철수(2~5%)와 홍준표(1~3%)가 그나마 지난 대선 출마자로서의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역시 국민의힘 지지층이나 무당층, 성향 보수층에서 선호도 한 자릿수에 그쳐 여권에 맞서는 구심점 역할을 하기에는 역부족으로 보인다.
![이미지=[한국갤럽]](https://cdn.newsin.co.kr/news/photo/202011/82817_73674_2848.png)
윤석열 검찰총장은 현직 정치인이 아님에도 꾸준히 차기 정치 지도자 후보감으로 거명되어 왔고, 10월 하순 제21대 국회 첫 국정감사에서 추미애 법무부장관과 함께 다시금 많은 주목을 받았다(→ 데일리 제423호, 법무부장관·검찰총장 직무 평가). 선호도 역시 지난 8월 9%에서 9·10월 3%로 하락했다가 이번 11월에 11%로 재상승했다. 특히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34%, 성향 보수층·대통령 부정 평가자 등에서는 25% 내외가 그를 답했다.
2022년 3월 제20대 대통령선거까지 남은 기간 변동 여지가 크고 자유응답 특성상 비정치인도 언급될 수 있으므로, 현재 각 인물 선호도는 전국적 지명도나 대중적 인기, 조사 시점 이슈가 반영된 지표로 봐야 한다.
자세한 조사 결과는 중앙선거여론 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