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헬스】김연환 기자 = 대형병원의 외래환자 쏠림현상이 갈수록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7일 민주노동당 곽정숙 의원(비례대표)에 따르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외래 의료기관 종별 심사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현상이 심각하다고 밝혔다.

심평원의 외래의료기관 종별 심사실적에 따르면 종합전문병원, 종합병원 등의 진료비 점유율은 매년 증가한 반면, 의원의 진료비 점유율은 2001년 이후 14.6%p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종합전문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 등 의료기관 4종의 구체적인 외래 총 진료비의 경우 종합전문병원이 9.9%(2001년)에서 15.7%(2008년)로 5.8%p증가했다.

그리고 종합병원은 10.2%(2001년)에서 15.9%(2008년)로 5.7%p 증가해, 2008년 기준 종합전문병원과 종합병원의 외래 진료비 점유율은 총 31.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의원은 74.6%(2001년)에서 60.0%(2008년)로 외래 진료비 점유율이 14.6%p 감소했다.

내원 일수 역시 외래 진료비와 같은 방식으로 비교한 결과, 종합병원 등의 내원 일수 비중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의원은 2001년부터 해마다 내원 일수 비중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종별, 의료기관 1곳 당 연평균 외래 진료비 수입 현황도 병원 규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종합전문병원, 종합병원은 2002년 이후 외래 진료비 수입이 거의 매년 두 자리 수로 증가세를 보인 반면, 병원 및 의원은 2002년 이후 감소하거나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의료기관 종별 외래 진료비 및 내원 일수 점유율 분석을 통해, 외래환자가 동네의원에서 대형병원으로 이동하고 있는 양상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곽 의원은 "의료기관 종별, 외래 진료비 점유율의 뚜렷한 변화는 환자 유치를 위한 의료기관 간의 경쟁이 치열하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며 "이는 병의원급 의료기관의 수익 악화 및 양극화 현상이 점점 가중되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