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수입된 중국산 식품은 모두 491만t으로 전체 식품 수입량 가운데 11.8%를 차지했다.
이는 김치가 22만2000t으로 가장 많았으며 당근 7만8000t, 무 7000t, 마늘 5만2000t, 양파 3만8000t, 팥 3만1000t, 땅콩 2만8000t 등 순이다.
지난 2007년 872만3000t(22.9%)과 비교해 전체 물량이 절반 가까이 감소했으나 중국산의 수입시장 점유율은 여전히 그대로인 셈이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관계자는 "보따리상 등을 통해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불법 반입되는 각종 물량까지 치면 양이 엄청날 것"이라고 말했다.
◇쌀 황금비율로 '명품 둔갑'
일선 관계 당국 등에 따르면 국내산 쌀과 수입산 쌀을 혼합하거나 국내산을 서로 '황금비율'로 혼합해 명품 쌀로 둔갑시키는 수법이 증가하고 있어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유형별로 보면 지난해 국내 반입된 수입쌀 가운데 원산지를 허위로 표시하다 30건이 적발됐다.
이는 중국 쌀을 국산 쌀과 혼합해 국내산으로 표기 한 것이 15건, 중국 쌀을 국산으로 속여 판 것이 12건 등이다.
또 중국 쌀과 미국 쌀을 각각 섞어 국산으로 둔갑한 것이 2건 등으로 사실상 무조건 섞기만 하면 국산으로 재탄생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순수 국내 쌀 끼리 교묘히 혼합해 유명 지역 특화 쌀로 둔갑시키는 어처구니없는 상황도 벌어지고 있다.
전남지역 일부에서 생산된 쌀을 현재 명품 쌀로 특화돼 소비자 구매가 높은 경기도 이천의 임금님 쌀로 원산지를 허위 기재하다 당국에 적발됐다.
지난한 해 원산지 허위 기재로 문제가 된 쌀은 총 3803개에 달하고 있다.
이는 허위로 원산지를 둔갑한 것이 2054건, 표시조차 하지 않은 것이 1749건에 달하고 있다.
현행 허위기재의 경우 7년 이하 징역이나 1억원 이하의 벌금이, 미 표시를 하다 적발되면 1000만원 이하 벌금을 부과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