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헬스】조정훈 기자 = 당국의 강력한 의지로 추진 중인 학교 지하수 관리ㆍ감독이 초반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일부 초·중·고등학교와 수련원 등 지하수에서 식중독균인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됐다.

◇6곳 노로바이러스 검출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4일 이달 초부터 지하수를 사용하는 전국 학교 및 수련원 74곳을 검사한 결과 6개 시설 지하수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경기ㆍ경북 각각 4곳과 충남ㆍ전북 각각 1곳에 있는 초등학교 4곳, 중·고등학교 각각 1곳이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계절에 관계없이 노로 바이러스 식중독 환자가 발생하고 있어 관계당국 등은 식중독 발생을 차단하기 위해 부심하고 있다.

식약청 관계자는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된 학교의 경우 식중독 환자는 나오지 않았다"면서 "문제의 6개 시설 지하수는 식품용수로 사용을 금지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반드시 끓인 물을 제공해야한다"고 당부했다.

◇식중독 환자 매년 증가

지난 2006년 전국 노로바이러스 발생 건수는 총 51건으로 이 가운데 19.7%가 식중독에 걸렸다.

지난해는 69건으로 2007년 97건보다 주는 듯 했으나 오히려 식중독 발생 비율은 19.5%로 0.5% 증가했다.

이에 따라 식약청을 비롯한 관계 당국, 유관기관 등은 지난 2월 '식중독 예방 계획'을 발표하고 식중독 발생원에 대한 처벌 수위를 강화하겠다고 표명했다.

유관기관인 16개 시ㆍ도 등과 공동으로 '식중독 제로화'에 나서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해석된다.

◇식중독 비율 10% 달성할까?

오는 2012년까지 식중독 발생을 인구 100만명 당 100명 수준으로 줄이고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비율을 10%로 낮추겠다는 게 현행 당국의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관련 기관에 식중독 예방을 위한 전수조사를 시행키로 하고 지하수 사용 학교와 수련원 등에 노로바이러스 오염여부 조사 방침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국의 학교, 유치원, 노인복지 시설, 장애인 시설 등 취약계층 시설 총 4만6000곳에 연 1회 이상 지도·점검을 시행하는 등 추진 업무에 시동이 걸렸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같은 관계당국의 식중독 저감화 의지에 의문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

노로바이러스 발생을 원천 차단하기 보다는 발생 후 강력한 처벌에 무게 중심이 쏠린 듯한 정책 스타일이 빈축을 사는 것이다.

이와 함께 유관기관인 일선 광역ㆍ기초 자치단체의 경우 고유 업무 처리에도 빠듯한 데 열일 제쳐 두고 단속 업무에 치중하기란 녹록치 않은 분위기도 감지된다.

한정된 인력으로 전국에 퍼져 있는 총 4만6000곳에 대해 연 1회 이상 지도·점검을 시행하겠다는 당국의 추진 실적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