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약 이미지. (출처=pixabay)

[뉴스인] 조진성 기자 = #59세 강모씨는 위장질환으로 병원을 찾아 소화제를 처방받았다. 소화제 섭취 후 잠이 오지 않는 증상이 나타났고, 수면다원검사 확인 결과 하지불안증후군으로 확진되었다. 소화제가 하지불안증후군을 악화시키면서 불면증 증상으로 발전한 것이다.

미국 조지아대학교 의과대학 Donald L. Bliwise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울렁거릴때 먹는 소화제인 메토클로 프라미드와 같은 도파민 길항 작용을 갖는 약물이 하지불안증후군을 악화시킨다고 발표했다.

손 쉽게 접하는 소화제가 하지불안증후군을 악화시키는 것이다. 그 밖에 항우울제, 신경이완제, 항히스타민제 등의 약물도 하지불안증후군에 영향을 주었다.

하지불안증후군은 약 360만명(7.5%)이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 될 정도로 흔한 수면장애이다. 하지만 이 증상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는 매우 적다. 대부분의 환자들이 디스크나 하지정맥류로 오인해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 등을 다니며 정확한 치료를 받지 못하거나 약물로 인한 증상 악화를 인지하기 어렵게 때문에 일시적인 증상으로 생각하고 참고 견디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불안증후군 증상은 낮에는 괜찮다가 잠들기 전 하체에 불편한 감각이 느껴져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질환으로 다리를 움직이지 않으면 증상이 심해진다. 주로 다리에 벌레가 기어다니는 느낌, 쑤시거나 따끔거리는 느낌, 바늘로 찌르는 듯한 느낌 등 환자에 따라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불안증후군의 주요 원인은 철분부족, 도파민부족, 유전적 요인 등이다. 이 밖에 혈액순환 장애, 신경장애, 비타민·미네랄 부족 등과도 연관이 있다. 임신 중의 철분부족상태나 빈혈, 말기 신장병, 당뇨는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하지불안증후군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수면다원검사와 혈액검사가 필요하다. 하지불안증후군이 유사한 증상을 동반하는 다른 질환과 혼동되기 쉽고, 다른 수면질환과의 감별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수면다원검사는 수면에 대한 종합검사로, 잠자는 동안 발생하는 신체의 문제점과 수면의 질 등 수면 중에 나타날 수 있는 모든 증상을 확인 할 수 있다.

한진규 원장은 “하지불안증후군은 약물치료만으로도 증상이 크게 호전될 수 있기 때문에 전문의를 통한 정확한 진단이 우선”이라며 “원인에 따라 철분이 부족할 경우에는 철분제로 보충해주고, 도파민이 부족할 때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제재를 소량 복용하면 빠르게 호전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하지불안증후군을 방치하면 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수면 중 사지를 계속 움직이는 사지운동증후군, 불면증 등의 수면장애로 발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심장질환, 뇌질환 등의 위험도 증가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날씨가 추워지는 환절기에 하지불안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낮동안 햇빛을 많이 노출시키는 것이 좋다. 한원장은 “계절이나 날씨에 따라서 하지불안증후군이 심해지는 경우에는 햇빛량과 관계가 깊다. 햇볕을 쬐며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체조를 한 뒤 다리마사지나 족탕으로 다리의 피로를 해소해주는 것이 하지불안증후군을 예방하고 완화시키는데 좋다”고 강조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