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헬스】박생규 기자 = 1940년대는 일제 강점기의 암울한 시대였지만 전쟁으로 군마의 수요가 많아 말이 중요시되었고 말과 관련된 행사가 유난히 많았던 시기였다.

일본은 메이지천황이 마필개량을 지시했던 4월7일을 애마일(愛馬日)로 정해 말과 관련된 행사를 열도록 했는데, 애마일은 1940년대에 들어 애마주간으로 확대돼 전국에서 요란한 말 행사가 개최됐다.

서울에서는 400여두의 군마와 민간마가 시가행진을 하는 애마행진, 군마 전시회, 군마미담(軍馬美談) 강연회, 여학생들이 당근과 물을 말들에게 먹이는 애마봉사 등의 행사가 열리고 극장에서는 애마선전영화가 상영됐다.

또 말에 관한 미담이 신문과 잡지에 대서특필되고 학교에서는 말을 소재로 작문을 하게 했다.

1942년 6월10일 용산역 앞에서는 조선군사령부의 고급장교들과 조선마사회 간부, 총독부 축산 관리 들이 나와 성대한 애마 환송식을 거행했다.

이 행사는 역대 조선군사령관의 승용마였던 도찌기(柝木)를 고향인 후쿠시마로 돌려보내는 것이었다.

도찌기를 탔던 조선군 사령관은 15대 미나미 지로부터, 16대 하야시 센주로, 17대 가와시마 요시유키, 18대 우에다 켄키치, 19대 고이소 구니아키, 20대 나카무라 고타로, 21대 이다가키 세이시로까지 모두 7명에 이른다.

7대에 걸쳐 조선군사령관의 승용마로 봉사했던 '도찌기'는 22세의 노마가 돼 명예롭게 퇴역했다. 말 한 마리를 떠나보내기 위해 고관대작이 모두 참석했던 행사는 일찍이 없었다.

도찌기 환송식이 있던 해 12월8일 남산 조선신궁(朝鮮神宮)에서 신마봉고제(神馬奉告祭)라는 것이 열렸다. 조선신궁은 일제가 식민지배의 상징으로 서울 남산 중턱에 세운 신사(神社)로 일제는 침략에 의해 식민지를 얻으면 반드시 그 지역에 관립 신사를 세워 정신적·종교적 지배를 꾀했다.

남산 조선신궁에서 행해진 신마봉고제는 군마의 무운(武運)과 마사진흥(馬事振興)을 빌기 위해 조선군이 주최한 것으로 앵글로아랍종 말 한 마리를 신마로 바쳤다고 한다.

1942년 8월에는 전국의 학생승마선수, 민간승마인, 일본군인들이 출전한 국방훈련기도대회(國防訓練騎道大會)가 열렸다. 조선마사회와 조선체육진흥회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 행사는 전시 하에 학생들에게 승마훈련을 시키기 위한 목적이었다.

이처럼 일제강점기에는 우수한 군마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 하에 말 관련 행사들이 많았다. 일제가 강조한 애마정신이라는 것은 곧 군마에 대한 필요성과 다르지 않았으며 말과 관련된 행사들도 정치적 선전의 일부였다.

우리나라가 근대에 이르러 마문화(馬文化)가 척박해진 것도 이러한 암울한 과거와 무관하지 않다고 하겠다.

<자료=한국마사회 제공>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