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시행된 진료권역 확대 방침에 따라 환자 유동성이 대폭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조기진료 서비스는 모두 제각각인 것으로 드러나 시민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11일 뉴시스 헬스는 '서울시 보건소 빈익빈 부익부'에 대해 총 3회에 걸쳐 시리즈로 점검한다.
◇인구증가, 환자증가
지난해 말 현재 시 인구는 총 1045만 6034명으로 2007년 대비 0.33%증가하는 등 최근 5년 사이 계속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외국인은 11.41%증가 했으며, 지난 10년 전에 비해 65세 이상 인구도 무려 77.8%(50만5438명→89만8700명)나 늘어 의료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실제 지난 2006년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3년간 관내 총 25개 보건소의 '질병예방, 건강증진 사업 실적'을 분석한 결과 871만1157명이 이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방문보건, 예방접종, 만성질환 등 총 13개 단위사업 가운데 노인건강진단, 성인병 등 건강검진 이용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상반기는 이용객이 88만8480여명으로 최고조에 달하는 등 계속적으로 예방접종(43만9500명), 임산부(26만845명)진료 건수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지난 2006년 277만3160명에서 2007년 291만6360명으로 소폭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지난해엔 무려 302만1630명으로 '300만 진입'에 골인했다.
그러나 이 같은 진료권역 확대 및 이용자 증가에도 불구하고 일선 보건소 등은 일관성 없는 운영과 시민 수요 파악이 협소해 본래 사업 취지를 흐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부 보건소의 경우 시민 서비스는 고사하고, 직원 복지 챙기기에 급급한 것 아니냐는 빈축도 나오고 있다.
서울시가 지난해 관내 보건소에 지시한 평일조기진료서비스 시행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25곳 가운데 21곳이 계속시행, 3곳이 올해 3월 시행, 1곳은 시행 폐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