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들은 고의로 육우를 한우로 속여 납품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오해를 받을까 걱정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교육계 등에 따르면 급식재료 납품업체 2곳이 J초등학교와 K초등학교에 제공한 한우 중 일부가 육우인 것으로 밝혀졌다.
A업체는 K초등학교에 납품할 한우를 포장하는 과정에서 다른 초등학교에 납품될 육우와 뒤바뀌었다.
즉 다른 초등학교에 배달될 육우가 K초등학교에 배달된 것이다.
B업체는 J초등학교에 한우를 납품하면서 보관 중이던 한우와 새로 구입한 한우를 납품했다.
두 고기 모두 등급판정서에 한우로 판정된 상태에서 조사 결과 육우가 섞였다는 판정을 받은 것이다.
A업체 관계자는 "육우와 한우 배달 건이 포장 과정에서 바뀐 것"이라며 "고의로 그런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그는 또 "학교 급식은 국내산을 쓰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미국산 등 수입산 쇠고기를 학교에 납품한 적은 절대 없다"며 "학교는 일반 소비판매가 아닌 주문생산방식이고 서류가 조금이라도 틀리면 거래할 수 없기 때문에 고의성으로 (한우를 육우로 둔갑해 납품) 할 수 없다"고 말했다.
B업체 관계자는 "이번 사건은 등급판정서에 한우라고 나왔던 보관용 고기와 새 고기를 함께 납품하면서 생긴 일"이라며 "경제적 이득 때문에 누구를 속인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 사건을 조사한 인천남부교육청 관계자는 "등급판정서와 육안으로 고기를 보고 판단하는 우리나라 한우 유통 시스템은 문제가 있다"며 "쇠고기는 DNA 검사를 한 뒤 학교에 납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인천학교급식시민모임은 "다음달부터 미국산 쇠고기 수입이 재개되면 가짜 한우 문제는 더욱 심각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이번 계기로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