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서울시가 지난해 거주지와 상관없이 관내 모든 보건소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하면서 파생된 개원가와의 껄끄러운 관계도 계속될 것으로 보여 진다.
하지만 시민들은 '의료서비스 확대', '서비스 질'을 논하는 양측의 구태연한 주장에서 벗어나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병ㆍ의원, 보건소로 변화 발전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보건소, 전문성 등 개선노력 필요
지난해 서울시가 관내 보건소의 진료영역을 확대키로 한 것과 관련해 보건소와 개원가 사이는 여전히 '총성 없는 전쟁(?)중'이다.
개원가 측에서는 "외래 환자 정률제 시행으로 진료비 부담이 증가해 환자가 줄고 있는데 동네 의원은 문 닫으라는 소리냐"며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당시 "일차 진료를 확대해 개원가의 환자를 보건소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은 절대 아니며 오해가 없길 바란다"며 "이 같은 사업을 실시하는 것은 시민들의 요구가 계속해서 제기돼 어쩔 수 없이 이를 반영한 것"이라고 진화작업에 나섰다.
이 같은 해명에도 불구하고 시행 8개월도 되지 않아 보건소 운영 등에 대한 빈축이 흘러나오면서 개선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실제 이 같은 비판은 시행 초기 K, J 등 서울시내 일선 보건소가 일관성 없는 보건소 운영으로 빈축을 사면서 시민 불만이 미풍을 탔다.
조기진료 금연 프로그램 등 특화 프로그램 시행에 따라 주민 수요를 파악하지 않은 것 등이 화근이 돼 언론에서 대서특필된 바 있다.
이는 보건소의 전문성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것으로 관의 특성인 성과분석에만 급급한 나머지 시민들 요구는 무시한 처사라는 비난이다.
박성미(35ㆍ여ㆍ서울시 동대문구)씨는 "기본적 행정 처리조차 미흡한 보건소가 어떻게 서울시민 건강과 보건을 책임지겠다는 것인지 앞길이 막막할 뿐"이라고 말했다.
◇병원 운영 '빈축', 개선노력 '열중'
의료 수요를 선점키 위해 100병상 이상 대형병원 10여 곳이 초호화 이미지를 앞세워 개원 및 설립을 준비 중이어서 수도권지역 대형병원들간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현재 S, O, K 병원이 수도권 내 진출을 적극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또다른 N, O, K, H, S 병원 등도 설립을 추진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대형병원의 경우 일부에서 일반 병·의원의 수배에 달하는 수수료를 챙기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비난 여론이 나오고 있다.
실제 S, O, K, D 등 수도권 내 대형병원들이 환자에게 진료소견서, 진단서를 발급해 주는 대가로 1만원에서 많게는 3만원까지 수수료를 챙기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A병원의 경우 환자들에 한해 진료소견서 한 장에 1만원, 추가당 1천원씩의 수수료를 징수하고 있으며 다른 K, D 병원 역시 1만원씩 수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선 병원 등이 수수료 명목으로 3000원을, 대부분 개인 병·의원들이 무료로 진료소견소를 발급해주는 것과 비교해 폭리를 취하고 있는 셈이다.
김모씨(48·안산시)는 "대형병원들이 수만 원의 발급비용을 책정, 돈벌이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 아니냐"며 불평했다.
이에 대해 수도권 지역 모 병원 관계자는 "개인병원들의 무료 발급은 민원이 많지 않기 때문에 가능하다"면서 "경쟁 병원의 수수료를 고려해 발급 비용을 산정한 뒤 보건소 신고후 청구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