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도달법 재수술 어려워 신중해야…후방도달법 범위 넓어
27일 의료계에 따르면 환자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척추수술의 상당수는 후방도달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척추수술을 받으려는 환자라면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해 전방도달법과 후방도달법 중 어떤 것이 자신에게 적합한지 분명히 따져봐야 한다.
전방도달법은 목의 앞을 절개하거나 갈비뼈 늑골사이 옆구리나 배 등을 가르고 척추를 수술하는 것이다.
척추나 척추체가 골절되면서 부러진 뼈 조각이 신경을 찌르거나 척추체에 종양이 있는 상태에서 척추후만증의 각도가 심해 전방에서 신경을 누를 경우 등은 전방도달법이 적합하다.
그러나 수술 도중 창자와 복강 등 여러 장기나 다리로 가는 장골동맥 등 큰 혈관이 파손돼 위급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혈관 유착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고 재수술이 어려운 것도 단점이다.
반면 등을 절개해 수술하는 후방도달법은 신경을 바로 만날 수 있으며 외상이나 허리 문제를 거의 다 해결할 수 있다.
수술기법의 발달로 과거에 경추증은 신경 손상을 막기 위해 전방도달법으로 했지만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후방도달법으로 할 수 있다.
또 척추에 염증이 생겼을 때도 경우에 따라 후방도달법으로 수술할 수 있다.
단, 신경을 제치고 수술하기 때문에 신경손상이 있을 수 있지만 중대한 신경마비나 사망에 이를 확률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의료원 척추정형외과 황대우 전문의는 "전방도달법은 신경을 건드리지 않고 바로 병변부위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면서 "일반적인 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 등은 후방도달법으로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부득이 전방도달법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최근 기술의 발달로 이 역시 후방도달법으로 가능해졌다"고 덧붙였다.
한강성심병원 국제척추센터 신재혁 교수는 "전방도달법은 혈관 손상이나 장기파열의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며 "만일 큰 혈관 손상이 발생해 바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목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을 요한다"고 말했다.
보라매병원 관절ㆍ척추전문센터 이지호 교수는 "전방도달법에서 조직에 상처가 생겨 혈관 유착이 발생할 수 있다"며 "만일 오른쪽으로 재수술하면 해부학적 구조로 정맥이 있기 때문에 수술이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