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인] 박길홍 주필 = 행동 약속과 관리 계획, 가시적 상, 토큰 경제 등의 기능적 행동 평가와 긍정적 행동 조절ㆍ지원은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학생들이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게 한다. 학생들의 개인적 필요가 다 다르기 때문에, 선생님이 가족이나 다른 관련 전문가들과 함께 이 훈련이 각 개인의 학교생활 적응에 적절한지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능적 행동 평가(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 FBA)는 문제 행동을 기술하고, 문제 행동과 연관된 환경적 요인 혹은 주변 사건들을 밝히는 체계적인 과정이다. 문제 행동을 보이는 학생을 돕는 팀은 ▲행동을 관찰하며 문제적 특징들을 발견하여 정의하고 ▲그 행동에 선행하거나 따르는 행위나 사건을 규명하고 ▲이 행동의 발생빈도를 결정한다. FBA 결과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행동 조절 및 지원 계획 작성에 사용된다.
긍정적 행동 조절 및 지원(Pos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and Supports, PBIS)은 문제 행동이 발생하는 환경과 상황에 관한 연구를 기초로 한 ‘행동 기반 체계적 접근(Behaviorally based systems approach)’을 적용한다. 학교, 가족 그리고 관련 공동체는 힘을 모아 이 방법을 사용하여 행동 조절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환경을 고안한다. PBIS의 목표는 문제 행동을 보다 바람직한 행동으로 대체하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술과 기회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FBA와 PBIS 구현을 위한 대표적 방법론에는 행동 약속과 관리 계획(Behavioral contracts and management plans)이 있다. ADHD 어린이의 부적절한 행동을 교정하는 전략을 짜기 위하여 특정한 학문적 혹은 행동적 목표를 설정한다. 적절한 목표를 찾기 위하여 학생과 협조하여 일한다.
학교 숙제의 시간 내 완수, 학교 운동장에서 안전규칙의 준수 등 학생이 이 목표의 완수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실히 깨달을 때까지 충분히 시간을 준다. 이 전략은 일반적으로 모든 학급 학생이 아니라 ADHD 학생 개인에게 사용된다. 또한 반드시 부모와 상의하여 마련해야 한다.
바람직한 행동을 북돋우기 위하여 가시적 상(Tangible rewards)을 준다. 상으로는 "happy faces" 스티커, 스포츠 팀 기념품, 컴퓨터 사용시간 연장 혹은 선생님과 점심 등의 특혜 등을 들 수 있다. 학생이 직접 상을 선택하도록 해야 한다. 학생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면 상을 받기 위하여 더욱 열심히 노력한다.
토큰 경제(Token economy systems)를 활용할 수도 있다. 행동 약속에 명시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동기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숙제를 제 시간에 완수할 때마다 점수를 얻는다. 숙제를 제 시간에 마치지 못하면 점수를 잃는다. 학생이 목표 점수에 도달하면 가시적 상을 받는다. 컴퓨터 사용 시간 연장, 금요일 오후 자유시간 등이 있다. 때로 특정 개인이 아니라 전 학급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자가 관리 체계(Self-management systems)는 학생이 자신의 행동을 선생님의 지속적인 감독 없이 스스로 관찰해서 평가하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전형적인 자가 관리 체계에서는 학생이 자가 관리해야 할 행동들을 선생님이 찾아내서 각 등급별 수행평가기준을 포함한 등급점수표를 제공한다.
선생님과 학생은 각자 독립적으로 학생 행동에 등급을 매긴 후 서로 비교한다. 서로의 등급이 1 포인트 내에서 일치하면 학생은 점수를 얻고, 등급이 1 포인트 이상 차이 나면 점수를 얻지 못한다. 점수는 상과 교환된다. 시간이 가면서 선생님의 개입은 감소하고 학생 스스로 독립적으로 자가 관리의 책임을 맡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