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자생한방병원에 따르면 최근 1개월간 내원한 환자 218명을 대상으로 '척추질환자의 관절건강지수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현재 척추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 중 17.8%가 3개 이상의 무릎관절염 대표 증상을 보이는, 무릎관절염 고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소 1개 이상의 증상을 가진 척추질환자의 경우도 63.3%에 달해 척추질환자 중 과반수 이상은 무릎건강에 이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릎관절염 자가진단은 계단 보행시 통증, 기립시 통증, 야간통, 무릎열감, 무릎마찰음의 유무를 알아보는 5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밖에 척추질환자 5명 중 3명은 1개 이상의 증상을 보유한 무릎관절염 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집계 됐다.
이처럼 척추질환이 있는 경우 몸의 중심이 틀어지고 체중 부하의 균형이 깨지게 되며, 무릎 관절 가운데 한쪽에 과도한 부담이 가해져 관절 연골의 소모와 염증의 발생 등이 연달아 발생할 수도 있다.
허리디스크 질환의 역시 평소 운동부족으로 인한 전신적인 근력의 저하와 뼈와 근육의 퇴행이 동반되기 쉬우므로 무릎 관절 역시 영향을 받게 된다.
자생한방병원 장형석 원장은 "환자들 중에는 허리 뿐 아니라 무릎, 목 등 다른 부위의 통증을 함께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며 "척추와 관절은 유기적으로 연결 돼 있어 척추에 이상이 생기면 관절의 건강도 흔들릴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장 원장은 또 "관절통증의 치료시기가 늦어질 경우 관절염이 심해져, 척추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악순환이 반복되므로 척추질환자는 평소 관절건강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