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매사추세츠주에 위치한 어드벤스드셀 테크놀러지사는 지금까지 인간복제를 위해 연구해온 결과 인간의 세포가 쥐나 소, 그리고 토끼 등의 배아에서는 작동하지 않았다고 한 결론을 발표했다.
인간 복제에서는 체세포를 이용해 인간의 배아세포에서는 가능했으나 이처럼 동물의 배아에서는 적용될 수 없다는 결론이 내려진 것이다.
이 연구소의 로버트 랜자 박사는 "인간과 동물의 세포를 섞는 것은 적절한 배아로 성장하도록 프로그램돼있지 않았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인간의 난자를 이용해 인간과 동물의 결합을 연구한 적이 있었으나 인간배아세포를 구하는데 어려움이 있자 이처럼 학자들은 동물배아세포를 이용해 연구를 시도해왔었다.
배아세포에서 핵을 제거, 다른 세포에서 얻어진 핵을 이전하는 이른바 체세포 핵을 주입하는 핵이전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동물의 배아 세포에 인간 세포의 핵을 주입한 결과 세포가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고 연구소 측은 밝혔다.
랜자 박사는 "아이디어는 아주 간단해 환자의 DNA를 핵이 제거된 소나 혹은 토끼의 난자에 핵을 제거하고 주입, 자라기를 기다리는 것이었었다"고 밝히고 이후 일어나야 할 세포분열이 이뤄지지 않고 단지 바람이 빠지듯 사라졌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10여년동안 이같은 동물 난자를 이용한 인간세포핵 결합실험을 벌인 것으로 확인됐는데, "우리가 아무리 주의를 기울여 시도해봐도 작동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연구도중 보여진 동물 난자에 대한 인간세포 주입 가운데 쥐의 난자에서는 단 한번의 세포분열이 있은 뒤 끝나버렸으며, 소와 쥐의 난자에서는 이 보다는 더 진전을 이뤘지만 배아로 성장하기 전단계에서 끝난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