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함병주 교수 (사진=고대 안암병원)

[뉴스인] 김다운 기자  = 우리나라 성인 7명 중 1명은 일 년에 1회 이상 자살충동을 느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함병주 교수팀은 2010년에서 2012년 사이에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데이터를 분석한 논문 ‘한국 인구의 대표 표본 내에서 자살 생각을 갖는 성인의 정신보건서비스 이용’에서 이 같이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 1만 7869명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심각하게 자살시도를 고려한 적이 있나?’는 질문에 2616(14.1%)명이 ‘그렇다’고 대답했으며, 대한민국 성인 7명 중 1명은 일 년에 한차례 이상 자살충동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중 1271명(48.7%)은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2주 이상 우울감이 지속됐으며 134(5.4%)명은 실제로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

하지만 ‘지난해 정신질환을 이유로 의료기관을 방문하거나 인터넷·전화 등을 이용한 상담을 받아본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193(8.2%)만 그렇다고 대답해 의료기관, 정신보건기관 등 전문적인 도움을 받은 사례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보건서비스 이용률에는 연령, 학력수준, 결혼상태, 경제활동여부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

65세 이상 노인층은 자살충동을 느꼈음에도 19~34세의 연령대에 비해 정신보건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비율이 4.9배 높았으며, 50~64세 역시 2.11배로 이용률이 낮았다.

또한 대학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성인에 비해 중학교 졸업 이상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을 가진 성인이 정신보건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비율을 1.87배 높았다.

결혼 여부에 있어서도 기혼 성인과 비교하여 사별한 성인이 정신보건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비율이 2.75배 높았다.

함병주 교수는 “노인, 저학력층, 사별한 성인과 같은 정신질환의 취약 계층에서 오히려 정신보건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비율이 높다는 점은 이들이 자살 위험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것을 말한다”며 “취약계층의 정신보건서비스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맞춤형 정신보건복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