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식은 '고혈당', 배탈이나 설사는 '저혈당' 유발

[뉴스인] 최동희 기자 = 맛있는 설 음식을 먹다 보면 평소보다 식사시간이 길어져 과식하기 쉽다. 게다가 상에 오르는 음식은 대부분 기름지다.
8일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에 따르면 음식을 제대로 씹지 않고 급하게 먹게 되면, 잘게 잘라지지 않은 음식물은 위와 소장에 부담이 되고 소화불량이나 급체로 인한 복통을 겪게 될 수 있다. 또 짧은 순간에 많은 양의 혈액이 공급되기 때문에 심장에도 부담이 된다.
당뇨나 고혈압 등 만성질환 환자들에게도 과도한 명절음식 섭취는 좋지 않다. 특히 당뇨환자는 과식으로 인한 고혈당도 문제지만 배탈이나 설사로 인한 저혈당이 나타날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또 고혈압이나 심장병 환자, 신장질환이 있는 환자가 짠 음식을 많이 먹으면 체내 수분이 늘어나는 울혈성 심부전이 올 수 있다는 게 강남성심병원의 설명이다. 신장질환 환자들은 설 기간에 발생하는 응급상황에서 먹을 수 있게 약을 준비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가정의학과 최민규 교수는 "짜고 기름진 명절음식을 과다 섭취할 경우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농도를 증가시켜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의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평소 식이요법으로 건강관리를 하고 있었다면 명절의 분위기에 휩쓸려 생활습관을 잃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연휴가 긴 경우 기름지거나 짠 음식 섭취를 줄이고 신선한 채소나 과일 위주로 규칙적인 식사를 하면서 평소와 비슷한 속도로 먹으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또한 처음부터 많은 음식을 상에 올려놓지 않는 방법도 식사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다. 식후 바로 눕지 않는 것도 역류성식도염을 막는데 도움이 된다.
아울러 과식으로 발생하는 일시적인 증상은 대부분 특별한 조치 없이 나아진다. 하지만 심한 복통, 발열, 구토 등의 증상이 지속되거나 탈수나 혈변이 동반되면 연휴기간에 문을 여는 병원 또는 가까운 응급실을 찾는 것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