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극단은 2015년 가을마당 청소년극 레퍼토리로 지난해 초연돼 전석 매진을 기록한 '비행소년 KW4839'를 새롭게 무대에 올린다고 17일 밝혔다.
'비행소년 KW4839'는 2013년 5월 ‘국립극단 청소년 예술가 탐색전’에서 무대미술가로 잘 알려진 여신동과 17명의 청소년들이 함께 만든 '우리는 여기에 있습니다'라는 작품에서 시작됐다.
이어 지난해 ‘국립극단 청소년극 릴-레이Ⅱ’에서 처음 공연됐다.

이 작품의 모태가 된 '우리는 여기에 있습니다'에 참여했던 17명의 청소년들은 자신의 위치를 ‘미래에 대한 불안과 동시에 설렘을 갖고 있는 정착하지 못한 여행자’로 표현했다.
이러한 모티브는 다양한 이야기로 발전했고, 어디론가의 여행이 시작되는 공항이라는 설정에 도달해 공연의 배경이 되었다.
알 수 없는 불안함과 동시에 못 말리는 자신감으로 충만한 청소년들과 함께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는지,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질문을 던지며 불안과 환희의 비행을 시작한다.
미지의 공항으로 설정된 극장에 입장한 관객은 수속, 탑승 과정을 거쳐 배우들과 함께 이륙해
현재 청소년들의 위치를 찾아가는 여행을 시작한다.
공연은 서사에 대해서도 새로운 접근 방식을 취하는데 이야기는 사건이나 드라마를 중심으로 흘러가지 않고, 순간의 모습을 포착하고 나열해 마치 미술전시와도 같은 독특한 흐름을 보여준다.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수많은 이미지, 인터뷰, 독백들이 미지의 세계로 비행을 떠나는 청소년의 이야기와 그들의 삶의 조각을 모자이크처럼 감각적으로 담아낸다.
목적지를 알 수 없는 곳으로의 비행을 시작한 작품 속 주인공인 청소년들은 팬픽, 게임, 연애,
입시경쟁을 소재로 자신들의 고민,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 미래에 대한 막연함을 이야기한다.
그 과정에서 느끼는 외로움, 불안감은 청소년기를 겪고 있거나 한 때 청소년이었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감정이다.
연출을 맡은 여신동은 “청소년이라는 대상을 통해 자신의 현재와 과거를 돌아보고, 자신의 내면과 만남을 가질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