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술 소비자 10명 중 4명가량이 저도수 소주를 접하면서 음주량이 과거보다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소비자연맹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은 지난 7월 20대 이상 성인 남녀 270명(남 130명, 여 1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여성의 42%가 저도수 소주를 마신 뒤 음주량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22일 밝혔다.
설문조사에 응한 270명 중 23%(62명)는 저도수 소주를 마시면서 음주량이 '약간 늘었다', 14.4%(39명)는 '많이 늘었다'고 응답했다.
또한 술 소비자의 절반 이상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가장 흔히 받은 영향은 '(술값) 지출이 늘었다'(14.1%)였다. 이어 '다음날 숙취로 건강상의 문제가 있었다'(12.2%), '음주 시간이 길어졌다'(8.2%), '술자리가 많아졌다'(5.9%) 순이었다.
이에 대해 소비자연맹 정지연 사무총장은 "소주가 순해지면서 음주량이 증가하는 부작용이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됐다"며 "저도수 소주의 유행으로 소비자의 술값 부담도 확실히 늘어났다"고 풀이했다.
저도수 출시로 술 소비가 늘었지만 소비자는 가격 문제에 대해선 그리 예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의 32.2%만이 '저도수 소주 가격이 (일반소주보다) 싸야 한다'고 응답해 '(가격은) 상관없다'(39.3%)와 '저도수 소주에 별도의 첨가물이 들어 있어 싸지 않아도 된다'(16.3%)고 응답한 비율보다 낮았다.
또한 술 소비자의 절반 이상이 저도수 소주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만족하는 이유로는 '술이지만 맛이 있어서'(38.9%), '마시기 편하면서 술처럼 취해서'(20.4%), '알코올 냄새가 나지 않아서'(14.1%) 등을 꼽았다.
정 사무총장은 "저도수 소주를 앞으로도 계속 이용하겠다는 소비자는 27.4%에 불과했다"며 "저도수 소주의 인기가 계속 이어질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