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윤필환 교수팀

흔히 노인성 질환으로 여겼던 고관절(엉덩이 관절) 질환이 젊은 세대에서도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윤필환 교수팀은 최근 우리나라 18~50세 성인 200명의 고관절을 조사한 결과, 19.3%가 고관절 충돌증후군이 생길 수 있는 고관절 뼈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5명 중 1명꼴로 위험성을 안고 있다는 것이다.
고관절 충돌증후군은 볼과 소켓 모양으로 서로 맞물려 움직이는 골반 뼈와 허벅지 뼈가 후천적으로 변형되거나 선천적으로 다르게 생겨 움직일 때마다 통증을 일으킨다.
이 질환의 증상은 누운 자세에서 무릎을 잡고 가슴 쪽으로 당기거나 다리를 안쪽으로 회전할 때, 오래 앉아 있다가 일어설 때 통증이 느껴지는 것이 대표적이다.
고관절 뼈 이상이 나타날 확률은 남성이 30.8%로 여성(12.6%)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반적인 고관절 뼈 모양과 달리 충돌하기 쉬운 형태로 생기는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고관절 뼈에 이상이 있더라도 충돌을 일으킬 정도가 아니면 아무런 증상이 없지만, 몸에 맞지 않는 과격한 운동이나 스트레칭으로 통증이 생기는데도 운동을 계속할 경우 관절 연골 손상이 심해져 퇴행성관절염까지 생길 수 있다.
이번 연구의 참여자들은 평균 나이가 33세로 비교적 젊은 데다 모두 과거 고관절 질환을 앓은 적이 없고, 평소 통증이 없음에도 고관절 뼈가 고관절 충돌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는 형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윤필환 교수는 "과격하게 다리를 돌리거나 뒤트는 동작처럼 고관절이 과하게 굽혀지는 움직임은 고관절에 부담을 줄 수 있다"며 "특정 자세에서 고관절에 반복적으로 통증이 생기면 무조건 통증을 극복하려고 하지 말고 운동방법을 바꾸는 게 좋다"고 말했다.
이어 윤필환 교수는 "생활 습관 교정이나 자신의 몸에 맞는 운동을 하는 것만으로도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오는 9월 영국 캠브리지에서 열리는 국제고관절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Hip Arthroscopy, ISHA)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