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약용작물학회지'에 소개돼
【서울=뉴시스헬스】박소라 기자 = 맨눈으로 식별하기 힘든 토종 약초 '백수오(白首烏)'와 그 짝퉁 '이엽우피소(異葉牛皮消)'가 RAPD(임의로 증폭된 다형성 DNA분석) 등 전문 분석법을 활용해야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나 눈길을 끌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백수오, 이엽우피소, 박주가리, 하우소의 형태적 형질을 비교한 것으로 지난해 '한국약용작물학회지'에 소개됐다.
27일 연구팀에 따르면 우리나라(대한약전(생약) 규격집)는 은조롱이란 식물의 뿌리만 백수오로 인정하고 있지만, 중국의 중약대사전ㆍ중약지(中藥志)에는 은조롱(격산우피소) 외에 이엽우피소ㆍ대근우피소의 뿌리도 백수오에 포함시키고 있다.
은조롱은 한반도 자생 식물이다. 하지만 생산성이 낮아 농가가 재배를 꺼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엽우피소는 재배 기간이 1~2년으로 짧고 생산성이 높아 1990년대 초반 중국에 도입되면서 대부분 농가에서 은조롱 대신 심어졌다. 이엽우피소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산동중약(山東中藥)'이란 중국 의약서에 처음 등장한다.
국내 시장에서 백수오는 하수오(何首烏) 또는 백하수오(白何首烏)란 명칭으로도 판매된다. 사상의학 창시자이자 조선의 철학자인 이제마는 저서인 '동의수세보원'에서 적(赤)하수오와 백(白)하수오를 구분했다. 적하수오는 하수오, 백하수오는 백수오다.
이에 학계에선 중국 명칭인 백수오 대신 국내 옛 서적에 근거가 있는 백하수오로 개명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소비자의 혼동을 막고 유전자원 주권을 지키기 위해 백수오 대신 백하수라고 표현해야 한다는 것이다.
백수오와 하수오는 별개의 식물이다. 기원이 되는 식물의 종류뿐 아니라 웰빙(유효) 성분이 다르다.
연구팀은 꽃의 색깔로 백수오ㆍ이엽우피소ㆍ하수오 등 세 식물의 구분이 가능하다고 했다. 백수오는 황록색, 이엽우피소는 황백색, 하수오는 흰색이다. 그러나 소비자가 꽃 색을 확인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다.
생약으로 사용되는 뿌리의 모양으로는 소비자가 구분하기 힘들다. 고구마 모양인 하수오만 감별할 수 있다.
백수오는 대개 갱년기 증후군 완화에 사용되지만, 하수오(何首烏)는 탈모나 흰머리 개선에 유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동의보감'엔 하수오가 정수를 채우고 털과 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안색을 좋게 하고, 늙지 않게 하며 명을 연장한다고 적혀 있다.
하수오란 명칭도 '하'씨 성을 가진 사람이 이 약초를 먹고 머리카락이 까마귀 머리처럼 까맣게 됐다는 중국의 고사에서 유래한다. 어찌(何), 머리(首), 까마귀(烏)는 '어찌 모발이 까마귀처럼 검고 풍성한가'란 뜻이다.
연구팀은 "백수오와 이엽우피소는 뿌리 상태에선 소비자는 물론, 전문가도 육안 구분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엽우피소의 뿌리가 은조롱(백수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고 굵은 편이지만, 두 뿌리가 섞이면 식별이 힘들다는 것이다.
한편 이엽우피소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백수오 제품의 65%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져 '가짜 백수오'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 성분은 현재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아 식품 원료로 사용해선 안 된다.
지난 23일 한국소비자원은 유전자검사(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와 염기서열 분석(DNA Sequencing)을 진행한 결과, 백수오 제품 32개 중 21개에서 이엽우피소가 검출됐다고 발표했으며, 건강기능식품 제조회사 내추럴엔도텍이 이에 반발하면서 이슈가 됐다.
imsorapark@newsi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