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원을 이전하며 10억원 상당의 의료장비를 구입해 방치하고 이를 개인의 책임으로 넘겼다는 지적에 대해 서울의료원은 "서울시 감사 이후 모든 의료장비를 사용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사진=서울의료원 홈페이지 제공) 강태현 기자 letmesee@newsin.co.kr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이 병원을 이전하며 10억원 상당의 의료장비를 구입해 방치하고 이를 개인의 책임으로 넘겼다는 지적에 대해 서울의료원은 13일 해명자료를 내고 "서울시 감사 이후 모든 의료장비를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의료원은 지난해 서울시 특정감사에서 지난 2011년 5월 9억4413여만원에 구입한 20종의 의료장비를 수개월 간 사용하지 않아 '외과계 중환자실 등 의료장비 미사용 방치'로 기관경고를 받은 바 있다.

서울시는 경고 처분의 이유로 ▲매년 물품수급관리계획을 수립하고 과다 장비에 대해 활용대책을 마련했어야 하는 점 ▲ 인공호흡기 외 다수 장비는 이동이 가능해 타부서나 타기관 등에서 사용될 수 있었다는 점 ▲의료기기는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도 계속 노후화된다는 점 등을 들었다.

이에 대해 서울의료원은 "감사 후 의료장비 중 이동이 어려운 장비를 제외하고는 내과계 중환자실이나 신경계 중환자실 등 각 부서별로 정상 사용했다"고 밝혔다.

이어 "수술 장면 녹화장비인 '헤드라이트 이미징 시스템(Headlight Imaging System)'의 경우 렌즈의 작은 얼룩이 발견돼 수리를 위해 회수해 갔으나, 동일한 문제가 계속 발생해 수차례 수리로 미사용 기간이 길어졌다"며 "현재는 신품교체 완료 후 정상 활용 중"이라고 밝혔다.

해당 수입업체에 대해 서울의료원은 법적 대응까지 검토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서울의료원 노동조합이 "청렴도가 최하위인 서울의료원에 대해 서울시가 특별한 조사를 실시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 것에 대해 "서울의료원은 지난해 국민권익위원회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3등급을 받아 중위권이었고, 지난 2011년 이후 종합청렴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의료원 관계자는 "개원 초 환자 수를 예상하지 못했고, 통합구매를 해야 의료장비 가격이 저렴한 부분이 있어 이 같은 문제가 발생했다"며 "노조 의견은 귀기울여 듣고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