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남용으로 치명적 부작용 유발… 전문의약품 전환 시급

【서울=뉴시스헬스】김연환 기자 = 먹는 피임약이 여러 가지 부작용은 물론 유방암, 자궁경부암 등 각종 암까지 유발할 수 있어 의사와 상담한 후 복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는 경구용 피임약이 금기시되는 경우도 상당히 많고, 부작용도 흔히 발생하고 있어 전문의약품으로 전환할 것을 보건복지가족부에 요구했다고 7일 밝혔다.

먹는 피임약은 미국, 영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에서는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돼 있고, FDA의 약제태아위험도 분류기준상 가장 위험한 수준인 'X등급'에 해당한다.

혈관염, 혈전색전증, 뇌혈관 질환, 관상동맥질환이 있거나 혹은 과거력이 있는 경우, 심각한 간기능 장애가 있는 경우, 유방암이 있는 경우, 진단되지 않은 질출혈이 있는 경우, 35세 이상의 흡연자, 임신여성 등에 대해서는 절대 복용해서는 안 된다.

또한 편두통, 고혈압, 자궁근종, 임신성 당뇨, 수술이 예정돼 있는 경우, 간질, 담낭 질환 등이 있는 경우에도 가급적 복용해서는 안 된다.

특히 일선 산부인과개원의들에 따르면 임신 초기에 임신한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경구용 피임약을 복용하다 이후 임신이 확인되는 경우, 태아 기형 가능성을 우려해 인공임신중절을 요구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므로 경구용 피임약 복용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의협 관계자는 "여성들이 피임 또는 생리 지연을 목적으로 경구용 피임약을 오남용하고 있고, 미성년자들까지도 함부로 피임약을 복용하고 있다"면서 "보건당국은 하루속히 경구용 피임약을 전문의약품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의협 관계자는 또 "임신 초기에 흔히 오용되는 X등급의 경구용 피임약은 반드시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