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관외과 박성수 교수팀, 1299명 10년간 치료과정 역 추적

【서울=뉴시스헬스】강선화 기자 =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위암 환자의 생존율과 연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고려대 안암병원 위장관외과 박성수 교수팀은 '젊은 남녀의 위암 발병과 예후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 1993년~2000년 고려대학교 병원에서 위암진단을 받은 남자환자 865명, 여성환자 434명 총 1299명을 대상으로 10년간 치료과정을 역 추적한 결과 에스트로겐과 같은 성호르몬이 위암 환자 생존율의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이며 위암 예후와도 연관이 있다는 것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젊은 여성에게 발병하는 위암의 93.3%가 타 조직으로 전이가 매우 빠르고 항암치료도 어려운 미분화암으로 위암말기에 해당할 정도로 치명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미분화암세포의 공격성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관련이 있으며 이 에스트로겐이 위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구팀은 위암 진단을 받았던 총 1299명의 환자 중 남성 환자 865명의 10년간 생존율을 비교 조사한 결과 40세 이하 젊은 남성 환자(100명)의 생존율은 62.5%로 40세 이상의 나이든 남성 환자(765명)의 생존율인 44.6%보다 훨씬 높았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 오히려 젊은 여성 환자가 나이든 여성 환자보다 생존율이 낮은 역전 현상을 보였다.

40세 이하 젊은 여성 환자(75명)의 생존율은 51.9%로, 40세 이상 나이든 여성 환자(359명)의 생존율인 56.2%보다 밑돌았다.

뿐만 아니라 이성 간 비교에서도 젊은 여성 환자의 생존율(51.9%)은 젊은 남성 환자 생존율(62.5%)보다 훨씬 낮았다.

젊은 여성에게 발병하는 위암이 나이든 여성에게서 발병하는 것에 비해 전이가 매우 빠르고 일반적인 항암치료에도 잘 반응하지 않으므로 조기 검사가 필수적이라는 것도 확인됐다.

이러한 차이는 40세 이전의 젊은 여성은 여성호르몬 분비가 왕성하나 40세 이후부터 점점 여성호르몬이 감소하고 폐경 또한 이뤄지는 시기이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로써 에스트로겐의 수치가 높은 젊은 여성일수록 위암 전이가 빠르고 생존율 역시 상대적으로 낮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최근 젊은 층에서 늘고 있는 위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보다 과학적인 접근이 가능하게 됐다"며 "앞으로 성호르몬과 위암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후속연구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럴 땐 '위암' 의심

위암은 조기 위암과 진행성 위암으로 나뉘는데 궤양을 동반한 조기 위암인 경우에 속쓰림 증상 등이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 증상이 없기 때문에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진행성 위암 역시 암에 의한 특이한 증상은 없으며 암이 진행함에 따라 동반되는 상복부 불쾌감, 팽만감, 소화불량, 식욕부진, 체중감소, 빈혈 등의 진행성 전신증상이 있다.

후기 위암으로 진행됨에 따라 구토, 토혈, 혈변, 삼킴 곤란 등의 증상이 있다.

◇'위암' 예방 방법

위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생활이 중요함으로 맵고 짠 음식과 자극성 강하거나 불에 탄 음식, 부패한 음식 등은 피해야 한다.

또 음식물에 첨가된 감미료, 방부제, 향료, 색소 등이 많이 포함된 음식도 피하는 것이 좋다.

특히 조리된 음식은 냉장고에 보관해 음식물 속 세균의 작용을 막도록 하고 신선한 채소와 과일 등을 포함한 균형적인 식사를 해야 한다.

아울러 증상이 없더라도 주기적인 검진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