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새로운 제2기 비대위가 구성돼 출범하기 전까지는 의협 집행부가 모든 책임과 권한을 갖고 의료제도 바로세우기를 위한 대정부 투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총파업 돌입이 당초 3월 3일로 예정돼 있었으나, 의정협의가 지체돼 총파업 관련 전 회원 투표종료일이 2월 27일로 예고됨에 따라 부득이 3월 10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총파업 결정을 위한 전 회원 투표시에도 '3월 10일부터 총파업 투쟁 돌입'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묻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의협은 총파업 결정을 위한 전 회원 투표는 오는 21일 오전 9시부터 28일 24시까지 실시하는데, 이는 예정보다 이틀 늦춰진 날짜다.
의협은 "총파업 결정 회원투표 연기여부와 관계없이 원격의료와 영리병원 등 정부의 의료영리화 정책에 대한 투쟁은 계속된다"고 강조했다.
의협은 18일 발표된 의료발전협의회 협의결과와 관련해 "내용상 부실과 절차적 하자로 인해 집행부는 공식적으로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의협은 "원격의료와 영리병원 등과 관련해 기본입장에서 변한 것이 없음에도, 어제 발표된 의료발전협의회 협의결과에서 모호한 문구가 많아 오해를 불러일으켰다"고 밝혔다.
일례로 '협의를 통해 합의된 사항'이라는 문구가 마치 원격의료, 영리병원 등과 관련해 의정 합의가 이뤄진 것처럼 비춰질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의협 관계자는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언론에 배포한 서신문에서는 '협의'한 내용을 모두 '합의'라고 표현했다"며 "마치 정부와 합의한 것처럼 적시해 보도자료를 배포한 것은 매우 부적절한 행동"이라고 말했다.
lovesaeha@newsi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