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피임연구회에 따르면 최근 가임기 여성(14~39세) 800명을 대상으로 피임 실태 및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병원에서 피임상담을 한적이 있다는 대답은 25%에 불과했으며 이중 피임상담만을 위해 병원을 방문한수도 26%에 그쳤다.
실제로 여성들이 피임법을 선택하는데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많이 미치는 정보 채널은 배우자(파트너)가 26%로 가장 높은데 반해 의사는 5%에 불과했다.
반면에 병원에서 피임 상담을 받아본 여성들은 '피임법 선택 및 사용에 있어 전반적으로 도움을 받았다'가 5점 만점에 3.9점으로 높게 평가했다.
특히 19세~24세 사이의 젊은 여성이나 미혼 여성일 경우 각각 41%, 38%가 '매우 도움이 되었다'(5점 만점, 5점)고 응답했다.
각 피임법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수준을 알아본 결과 '콘돔'(33%)과 '정관 수술'(36%)에 대한 오답 비율은 낮은 편이었으나 '난관수술'(65%)과 '자궁내 장치'(45%), '먹는 피임약'(44%)에 대한 오답 비율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피임이 필요한 19세 이상 여성 600명만을 대상으로 한 피임 실태 문항에서 피임이 필요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응답자의 27%가 현재 피임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피임효과가 확실한 피임법은 정관수술>난관수술>자궁내 장치였으며 성감을 떨어뜨리지 않는 피임법으로는 먹는 피임약과 자연주기법이 꼽혔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피임법에 대한 만족도는 '자궁내 장치'가 5점 만점에 4.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피임법인 '콘돔'(3.7) 또는 '자연주기법'(3.3)은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