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어린이 놀이 공간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트램펄린 관련 어린이 안전사고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나 시설 기준조차 없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트램펄린 관련 위해사례는 2010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해 총 277건에 이른다.

2013년 1분기 발생한 사고(45건)만도 전년 동기(15건) 대비 3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해사례 277건을 분석한 결과, 영유아(만6세 미만) 90건(32.5%), 초등학교 저학년 72건(26.0%), 고학년 62건(22.4%) 순으로 연령대가 낮을수록 사고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위해 부위는 팔ㆍ다리 등 사지 손상이 191건(69.0%)으로 가장 많았으며, 사지 손상의 39.8%(76건)가 골절․탈구 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트램펄린 시설은 신고나 허가를 요하지 않는 자유업으로 시설에 대한 기준이 아예 없고 시설 안전 점검도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이 서울ㆍ경기지역 소재 실내ㆍ외 트램펄린 시설 17개소를 조사했으나 매트, 스프링, 완충장치, 바닥재 등 시설 관련 8개 조사 항목과 비상구 유도등, 소화기 등 소방 관련 4개 조사 항목을 모두 충족한 곳은 단 1군데도 없었다.

뿐만 아니라 이용 연령 제한이 없는 곳이 14개소(82.4%), 트램펄린당 이용 가능 인원을 제한하지 않는 곳이 11개소(67.7%)로 나타나 이용자 간 충돌 시 상대적으로 연령대가 낮은 이용자의 사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안전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트램펄린 시설 및 안전 관리 기준 마련을 관련 부처에 건의할 예정"이라며 "보호자는 시설의 보험 가입 여부 및 시설 상태 등을 꼼꼼히 살핀 후 어린이가 안전수칙을 준수할 수 있도록 지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