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 때 비만이면 알츠하이머 치매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치매에 걸릴 확률이 보통사람보다 6배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노인신경과협회가 미국 의사협회 신경내과 학회지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중년 때 비만도가 30㎏/m2 이상이면 치매에 걸릴 위험성이 약 6배 이상 높았다. 사회인구학적 요소, 고혈압, 콜레스테롤 수치, 흡연, 혈관 질환들도 각각 2배 이상 위험도를 높였다. 이 요소들은 또 상호 추가적인 요소들로 작용했다.

치매(dementia)는 기억력, 사고력 등 뇌의 모든 능력이 떨어지는 뇌 질환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서울 청담동 스템스 치매 통증 클리닉 박재우 박사는 “이 가운데 알츠하이머 치매가 약 50%, 나머지 약 30% 는 중풍 또는 뇌졸중에 의한 후유증과 같은 혈관성 치매, 또 다른 나머지 20%는 두부 외상, 과도한 음주 및 흡연, 파킨슨병 등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치매는 치료가 쉽지 않다. 때문에 예방과 초기 치료가 중요하다. 치매 가족력이 있는 경우, 건망증이 심하거나 외워도 잘 잊어버리는 사람, 방향감각이 매우 둔한 사람, 지인을 잘 못 알아 보는 사람, 말이 생각대로 잘 나오지 않는 사람 등이 치매 예방검진 및 예방 치료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치매 예방요법으로는 약물 치료, 심리적 치료, 재활 치료 및 예방치료가 있다. 콜레스테롤 검사, 금연, 금주, 심장병 치료, 적절한 운동, 잦은 두뇌 운동, 우울증 치료, 폐경기 여성은 여성호르몬 투여, 기억 장애(건망증) 또는 언어장애가 있을 때 조기 검진 및 치료가 치매 조기 치료 및 치매 예방 치료에 속한다.

박 박사는 “치매는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예방이 최선”이라며 “체중을 줄이고, 적당한 운동으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