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서울대학교병원은 최근 보행로봇재활치료센터를 개소하고 뇌졸중이나 척수손상 등으로 보행기능을 잃은 환자들의 재활치료에 보행로봇을 본격적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서울대병원을 비롯해 국립재활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원주기독병원은 최근 지식경제부와 보건복지부의 재활로봇시범사업으로 보행로봇을 설치하고 재활치료에 들어갔다.
보행로봇은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다발성 경화증, 척수손상 등으로 인해 정상적으로는 걷기 힘든 환자들이 의료진의 도움 없이도 걸을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장비다.
환자의 몸통과 고관절, 무릎, 발목을 움직여 보행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센서로 생체신호를 탐지해 인공 관절부가 두 다리를 움직이도록 한다.
보행 패턴을 미리 프로그래밍 해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재활치료도 가능하다.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정선근 교수는 "환자가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가 계속되면 보행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며 "보행로봇은 보행기능 회복에 필요한 중추신경계를 활성화시키고 마비된 근력을 회복시켜 주기 때문에 환자들에게 희망적"이라고 말했다.
이새하 기자
lovesaeha@newsishealth.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