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이던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이 지난해 들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011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15조5968억원으로 전년 대비 0.72% 감소했다고 13일 밝혔다.
세부 내용으로는 ▲원료, 완제의약품 비교 ▲전문, 일반의약품 비교 ▲국내 시장규모 및 세계 시장 점유율 분석 ▲생산 및 약효군별 상위 품목 분석 ▲수출 상위 품목 분석 등이다.
지난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10%대에 육박했지만 2009년과 2010년은 6%대를 기록해 성장 감소세를 나타내다 지난해에는 0.72%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였다.
특히 지난해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주요 원인은 박카스디액 등 48품목의 의약외품 전환,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상황 종료로 인한 백신 생산량 감소 등이 꼽혔다.
또한 시장규모는 19조1646억원(173억 달러)으로 전년(19조3472억원, 167억 달러) 대비 0.9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국내 의약품의 세계 시장 점유율도 1.84%로 2010년 1.87%에 비해 감소했다.
식약청 관계자는 "지난 2010년 생산순위 2위였던 신종플루 백신이 유행 종료와 함께 10위권으로 밀려났고 3위의 박카스디액이 의약외품으로 전환되면서 생산실적이 감소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제약산업 성장을 위해서는 제약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수출 지원이 필요 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창권 기자
fiance1126@newsishealth.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