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민주통합당 김용익 의원이 이날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5월 이후 올해 7월말까지 헌혈됐던 혈액 중 B형 간염 양성이 뒤늦게 확인된 혈액이 16건 출고돼 모두 29명에게 수혈된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당국은 수혈 받은 29명을 대상으로 현재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명은 감염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됐지만 나머지 27명은 조사가 진행 중이다.
수혈 사례가 더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김 의원의 설명이다.
김 의원은 "B형 간염 양성혈액을 수혈 받은 국민이 실제 B형 간염에 감염됐는지 여부에 대한 철저한 역학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B형 간염 핵산증폭검사 국내 도입이 다른 국가에 비해 늦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B형 간염 핵산증폭검사가 도입되기 전 국내에서는 에이즈(HIV)와 C형 간염(HCV)의 핵산증폭검사만 할 수 있었고 한마음혈액원과 대한적십자사는 각각 지난해 5월과 올해 6월에야 B형 간염(HBV)까지 검사할 수 있는 핵산증폭검사를 도입했다.
오스트리아와 일본은 1999년, 스페인은 2004~2006년, 폴란드와 프랑스는 2005년, 포르투갈은 2006년, 슬로베니아는 2007년에 각각 이 검사방법을 도입했다.
daero@newsis.com
박대로 기자
daero@news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