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정옥주 기자 = 의료계가 병원을 방문하지 않아도 스마트폰 등을 통해 의사의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원격진료'를 정부가 재추진할 경우 이를 강력 저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는 24일 성명서를 통해 "2009년 의료 산업화란 명분으로 강제 추진하다 국민의 반대로 무산된 원격의료 허용을 위한 의료법 개정을 주무부서도 아닌 기획재정부에서 또 다시 밀실 추진하고 있다"며 "국민 건강과 의료 소비 패턴에 엄청난 지각 변동을 가져 올 수 있는 의료법 개정이 일방적으로 강행 추진될 경우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강력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원격의료 허용 의료법 개정은 환자들을 대형병원으로 쏠리게 해 가뜩이나 경영난에 허덕이는 동네의원들이 줄줄이 문을 닫는 사태가 발생할 것"이라며 "결과적으로 국민들의 의료 접근성은 현저히 떨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정부는 일차의료기관을 활성화 시킨다면서 만성병관리제를 시행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일차의료기관을 고사시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런 자가당착이 또 어디 있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노환규 대한의사협회장도 지난 20일 보건복지부 기자실을 방문 당시 원격의료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노 회장은 "원격진료가 허용되면 1차 의료기관의 기반이 다 무너지게 된다"며 "또 법적 기반도 미비하고 의료사고 발생시 책임소재도 명확하게 정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단순 추진하는 것은 반대"라고 말했다.

channa224@newsis.com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