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정옥주 기자 = 국립암센터 내에 설립된 시스템통합적 항암신약개발사업단은 총 7건의 항암신약 후보물질을 선별해 후속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지난해 6월 출범한 이 사업단은 국내 산·학·연을 대상으로 총 3회에 걸쳐 항암신약 후보물질 총 60건을 공모받았으며, 이 중 7건을 개발대상 후보물질로 확정해 물질 제공자와 공동개발을 진행 중이다.

현재 후속개발이 추진 중인 물질은 간암, 췌장암 성장·전이 억제제인 융합 단백질 등 생물의약품(Biologics) 4건과 비소세포폐암을 적응증으로 다중표적 키나제 억제제 등 3건의 화합물(Chemicals)이다.

이 중 한미약품과 공동으로 임상개발을 진행하는 Pan_HER 키나아제 억제제인 NOV120101은 11월부터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2개의 임상 2상 시험을 삼성서울병원, 국립암센터 등에서 실시한다.

오스코텍과 공동개발 중인 다중표적 키나아제 억제제인 NOV110302는 효능 검증 및 실험보완 단계를 끝내고 백혈병을 적응증으로 내년 미국 임상시험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GLP 기관에서 비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또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공동개발 중인 간암, 췌장암의 성장·전이 억제제인 융합 단백질 NOV110101은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이전을 목표로 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시스템통합적 항암신약개발사업단은 기존의 연구비 지원 방식이 아닌 사업단과 물질 원소유자가 직접 공동개발하는 가상회사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약 24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2016년까지 초기 임상을 마친 글로벌 항암신약 후보물질 4건을 민간 분야에 기술이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channa224@newsis.com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