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네티즌 중 절반 이상은 핵가족을 가장 이상적인 거주 형태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바티스는 대한의사협회와 공동으로 진행 중인 제2회 5대 가족찾기 캠페인의 하나로 설문 조사한 결과 53.3%가 핵가족을, 38%가 대가족을 이상적인 거주 형태로 선택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달 9일부터 이달 10일까지 캠페인 홈페이지(www.5gfamily.co.kr)에서 '가족과 소통'이란 주제로 진행됐으며 총 2268명이 참여했다.
2세대가 함께 사는 핵가족을 이상적인 거주 형태로 꼽은 이유로는 '편하기 때문에'(21.4%)가 1위였고 '현대사회를 살아가는데 가장 이상적인 가족 형태이므로'(19.2%), '최근 가장 일반적인 가족 형태이므로'(18.1%) 순이었다.
이외에도 '이해관계로 인한 갈등의 우려가 없기 때문에'(15.5%), '집값, 경제력, 개인의 삶의 여유가 부족함 등 현실적인 여건'(9.5%) 등의 응답도 있었다.
또한 3대 이상이 함께 사는 대가족을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응답 중에는 '정서적인 안정감'(52%)과 '자녀의 예절 등 교육적 측면'(24.4%)이 가장 많았다.
반면 부부 또는 형제 등 1세대가 함께 사는 가구를 이상적이라고 선택한 응답자는 6.8%, 혼자 사는 1인 가구를 이상적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9%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가족 모두 행복하게 장수하기 위한 조건'이란 질문에는 '화목한 가정분위기'(22.2%), '스트레스의 적절한 해소'(18.3%), '낙천적인 성격'(10.8%) 등으로 응답했다.
지난 2006년 진행했던 같은 설문조사에서 나온 '균형 잡힌 식생활' '적당한 운동' '화목한 가정 분위기' 등 결과와 비교하면 정서적인 요소가 더 중요하게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바티스 관계자는 "최근 고령화, 저출산, 수도권 인구 집중, 개인주의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우리 사회 화두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가족에 대한 인식을 되짚어볼 수 있는 결과"라고 말했다.
한편 5대 가족찾기 캠페인은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1세대부터 5세대까지 세대당 1명 이상 생존해 있는 5대 가족을 찾는 것으로 2006년에 이어 올해가 2회째다.
5대 가족 또는 5대 가족을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오는 9월16일까지 캠페인 홈페이지 또는 전화(1661-5514)로 참가 접수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