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교통안전공단이 최근 5년간 음주상태 사고(혈중 알콜농도 0.05%미만의 경우)의 사망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렌터카는 38건 중 16명이 사망(치사율 42.11%)했고, 자가 승용차는 1077명중 335명이 사망(치사율 31.10%)했다.
렌터카 음주상태 운전이 대형사고로 이어진 비율이 높다.
이는 렌터카의 경우 초보운전자가 단기 이용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이라는 게 공단측의 분석이다. 차량 조작이 미숙한 운전자가 급커브와 같은 낯선 도로환경에 직면했을때 소량의 음주라도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확률이 높다는 설명이다.
또 렌터카 음주운전 사망자가 여름 휴가철에 집중되고 있어 운전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렌터카 음주운전 사망자는 여름(5명)과 가을(5명)이 각각 35.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단 관계자는 "행락철 렌터카 이용 수요가 증가하고, 대여환경의 특성상 쉽게 음주를 접하면서 한 잔은 괜찮다고 생각하는 안전 불감증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공단은 음주운전에 쉽게 노출되는 여름·가을 행락철 렌터카 이용자를 대상으로 음주운전의 위험성을 알리고 렌터카 안전운전 수칙을 배포하는 등 캠페인을 전개할 방침이다.
kangse@newsis.com
강세훈 기자
kangse@news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