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송윤세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전적으로 외국에 의존하던 의료용 산소안정 동위원소(O-18) 농축수 분리정제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의료용 사이클로트론에 사용되는 O-18 농축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정제하는 기술로 국내 및 미국에 특허 등록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재료개발부의 김재우 박사팀이 교과부 'O-18 분리정제 기술 및 정제장치'를 개발해 기술 자립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O-18란 일반적인 물에는 0.2% 밖에 포함돼 있지 않은 원소로, 90% 이상 농축시켜 의료용 사이클로트론(양성자 가속기)에 넣으면 그 일부가 불소 방사성 동위원소(F-18)로 변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F-18은 양전자 단층촬영에 이용되는 방사성 의약품 FDG 제조에 사용된다.

O-18 농축수는 사이클로트론을 통해 F-18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각종 유기 오염물질과 불순물이 섞이기 때문에 정제하지 않으면 재활용할 수 없다.

또 기존의 외국 장치는 자외선만을 사용하는 광분해 방법이라 정제 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물 속에 분자 상태로 녹아 있는 용존산소량을 적정 농도로 조절한 후 정제 반응을 촉진하는 특정 파장의 자외선과 반사체를 함께 사용해 광분해를 통한 정제 효율을 높였다.

이를 통해 하루에 16g 정제 가능한 수입 장치보다 정제 효율을 5배 이상 높여 하루 90g 정제가 가능하도록 했다.

원자력연구원은 이 기술을 국내기업인 ㈜글라피아에 이전키로 하고, 정액기술료 7000만원과 10년동안 매출액의 3%를 경상기술료로 받는 조건으로 계약을 체결했다.

김 박사는 "O-18 농축수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기술로 농축수를 재사용해 연간 약 50억원이 절약될 것"이라며 "앞으로 국민 건강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knaty@newsis.com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