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2010년 기준 수도권 총생산(GRDP)의 6.7%에 이르는 규모다.
경기개발연구원 김희연 연구위원은 8일 낸 '스트레스 사회 한국; 원인과 대안'이라는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스트레스로 인한 수도권의 사회적 비용은 연간 37조5000억원으로 분석됐다.
관혼상제와 사교육비 등 사회적 특성으로 발생하는 스트레스 비용 21조7000억원과 병원치료, 피부관리, 여행, 운동, 음주 등 스트레스 해소 비용 13조4000억원, 스트레스 탓에 감소한 생산성 비용 2조4000억원을 합한 액수다.
개인별로는 사교육 스트레스 비용 325만원, 스트레스 해소 비용 74만2000원, 축·부의금 스트레스 비용 22만5000원 등으로 조사됐다.
가구당 장례·제사·명절 스트레스 비용은 77만3000원이었다.
스트레스 원인은 생애 주기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중·고등학생에게는 학습 부담과 성적 경쟁, 부모의 기대에 대한 부담감이 가장 큰 스트레스로 작용했다. 대학생은 진로(취업)와 학비(생계), 학벌(스펙)에 대한 강한 불만으로, 기성세대는 노후대비와 주택마련을 위한 비용부담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미혼 직장인은 과도한 업무량과 이직, 적성 불일치 스트레스가 가장 심했다. 기혼 직장인은 경쟁에 대한 스트레스가, 부모 세대는 생활비 외 축의금, 부의금 등 사회적 관계와 체면 유지비용 스트레스가 높았다.
이런 생애주기를 살펴 추정한 주민 1인당 스트레스 생애비용은 1억1600만원 수준이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김 위원은 보고서에서 "한국인의 스트레스는 과도한 경쟁과 체면을 중시하는 사회 특성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하고, "입시와 취업 등 경쟁의 룰을 다양화하고, 중소기업의 임금과 복지 등을 강화해 고용 양극화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상 속에서 스트레스 해소가 가능하도록 경기도 무한돌봄센터에서 정신상담, 치료 등 항(抗) 스트레스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며 "명상, 요가 등 탈(脫) 스트레스 산업도 육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yeujin@news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