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배민욱 기자 = 현재 서아프리카를 휩쓴 식량 위기가 단지 '가뭄' 또는 '식량 부족' 때문이 아니라 곡물 가격 급등과 같은 쇼크에 대처할 사회적 보호 프로그램의 부족에서 비롯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 문제가 구조적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서아프리카의 식량 위기는 영구화될 위험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다.

국제구호개발NGO인 세이브더칠드런과 월드비전은 3일 공동 전략 보고서 '일상적 위기상황의 종식 (Ending the Everyday Emergency: Resilience and Children in the Sahel)'을 발표하고 기존 인도적 지원 방식의 근본적 재검토를 촉구했다.

이들 단체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긴급구호가 발령된 서아프리카 사헬 지역에서는 1800만명 이상의 주민이 식량위기로 고통을 겪고 있다. 100만명이 넘는 아동이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영양 실조에 시달리고 있다.

그러나 이들 단체는 보고서에서 현재의 서아프리카 식량 위기는 이 지역을 뒤덮은 만성적 위기의 한 단면이 드러난 데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위기의 근본 원인은 사회적 보호 프로그램의 부족 등으로 인해 주민들이 해마다 식량을 생산·구매·비축할 수 있는 역량을 회복할 틈도 없이 반복적으로 곡물 가격 급등과 같은 쇼크에 노출되는 데에 있다는 것이다.

이들 단체는 "소농에 대한 지원 부족, 보건의료 서비스의 부족 등 사회적 보호 체계가 미흡한 탓에 위기의 해가 아닐 때에도 서아프리카의 아이들은 세계 어느 지역보다 심각한 정도로 영양실조에서 비롯된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아프리카의 상황은 전통적인 국제개발협력 정책의 실패를 보여주고 있다"며 "현재 식량 위기에 대처하는 국제적 노력은 농업 생산량을 늘리는 공급자 위주의 방식에 집중돼 있으나 이 같은 지원에서 여전히 사헬 지역 소농 중 최빈곤층인 25%는 배제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 단체는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각국 정부와 국제 사회에 적절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이들 단체는 ▲아동영양실조 감소응 위해 2세 미만의 영유아와 임산부를 우선순위에 둔 국가적 계획 수립 ▲사회적 회복력과 영양실조 개선을 위한 소농 지원 ▲식량 위기에 만성적으로 노출된 최빈곤 가구를 위한 사회적 보호 프로그램과 서비스에 투자 ▲기존의 국제개발협력과 인도적 지원 사이의 경계응 뛰어넘어 굶주림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각국 정부와 국제사회, 공여자의 새로운 계획 수립 등을 대책으로 제시했다.

mkbae@newsis.com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