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김지훈 기자 = 서울시는 올해 어린이집과 산후조리원, 병원과 국공립노인의료시설 등의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우수 인증시설' 100곳을 선정한다고 1일 밝혔다.

시는 이달부터 측정팀과 점검팀을 꾸려 자치구가 추천한 시설 200여곳을 방문해 실내공기 오염물질별 수준과 실내환기 및 정화시스템 운영실태, 그리고 실내공기질 관리 실태 등 3개 분야를 점검한다.

점검·실태조사반은 실내환기시설과 공기정화시설의 설치·운영 상태와 매뉴얼 비치·활용 여부, 조리실 등 취약구역 국소배기장치 설치 여부 등을 확인한다.

특히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 폼알데하이드와 일산화탄소 등의 기준유지 의무 항목은 측정기로 오염농도를 측정한다.

심사를 통과해 공기질 우수시설로 선정되면 '실내공기질 우수 시설'을 인증하는 마크를 부착하게 된다. 인증기간은 2년이며 인증기준 적합여부를 재평가받아야 기한을 연장할 수 있다.

한편 시는 내년부터 인증대상을 전체 다중이용시설로 확대한다.

현재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곳은 1000㎡ 이상의 장례식장과 3000㎡ 이상의 점포를 비롯해 신규 추가된 500㎡ 이상의 PC방과 2000㎡이상의 학원 등 20개 종류 3365곳이다.

이중 신규 관리대상은 PC방과 학원, 영화관과 전시시설에 대해서는 '공기질 관리요령 컨설팅'도 병행한다.

시 관계자는 "많은 사람이 활동하는 공간은 온도가 상승해 미세먼지가 발생하고 사무기기의 사용으로 오존과 폼알데하이드 등이 발생할 수 있다"며 "다중이용시설부터의 자발적인 공기질 관리를 유도해 시민의 건강을 보호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jikime@newsis.com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